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일주론으로 모두 판단하는 것은 바보같은 짓입니다만...오늘은 재미로 보는 차원에서!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관찰한 것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ㅎㅎ 을사일주의 물상으로는 초록뱀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신살로는 금여록이 위치해 있고요? 일주는 목욕지 위에 앉아있습니다. 목욕지+금여록이니 예쁘고 블링블링한 것들을 가까이 하게 되고 고급진 물건을 잘 구입하기도 하며 잘생기고 예쁜 사람들을 유독 좋아하는 경향이 있어요.   남들이 보기에도 좀 예뻐보여야 하고 드러내고 뽐내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이성을 선택할 때도 좀 키크고 잘생긴 사람들을 좋아하고 그렇습니다. 요즘 젊은 사람들의 연애관이 남녀 모두 상대의 외모를 비중있게 보는 사람들이 많이 증가했다고는 하지만 신살로보나...육신으로 보나...을사일주는 특히나 남자의 생김새나 큰 키(덤으로 근육질이면 좋고)을 비중있게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지로는 巳 상관이니 자신을 화끈하게 드러내기를 좋아하고 놀기 좋아하는 면모도 있습니다.   놀 때는 화끈하게, 남자를 고를 때도 그렇습니다. 巳의 지장간에는 庚정관이 암장되어있고 일간을 합을 하고 있는 모양새가 되죠. 그러니 남자와 항상 연관되어있거나 인연이 잘 닿기도 합니다. 항상 관성과 연결되어 있는 모양이 되므로 남자를 자주 접하게 되겠죠. 주변에 방해하는 글자나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요? 이들은 자기 맘에 드는 남자에게 잘 대쉬하거나 적극적인 모습으로 어필하기도 합니다. 그래도 여자는 여자니까 직접적으로 테토남처럼 들이댄다기 보다도 적당히 눈치를 주거나 자신의 연애관이나 상황을 맘에 드는 이성에게 잘 공유하기도 합니다.   한 사례로는 평소 헬스장에서 맘에 드는 이성을 눈여겨 보았다가 기회를 봐서 말을 걸거나 들이대서 인스타를 따기도? 합니다. 보통의 여성은 그런 경우가 잘 없지만 식신과 달리 을사일주의 상관은 목욕지를 품에 안은 상관이죠 😆 😆  목욕지는 잘 드러내고 벗기도 하는 12운성...

[로운사주명리] 육신의이해2



[로운사주명리] 육신의이해2


로운사주입니다.

육신의 이해 2편을 준비했습니다~!

육신에는 육친(六親)의 개념이 포함됩니다.

육친이란 자신과 가장 가까운 친족을 말한 것으로 부모,형제,배우자를 말합니다.

이 육친은 육신으로도 해석하는데요?



아버지 = 재성(財星)으로 해석합니다.

남, 녀를 불문하고 재성은 아버지에 해당합니다.

많은 분들이 정재를 진짜 아버지라고 생각하시지만...우주는 음양의 법칙으로 흘러갑니다. 어머니는 정인이 맞습니다. 그렇다면 정인의 짝은...정재가 아닌 편재가 되어야 맞습니다. 정재 정인이 되면 음양에 맞지 않습니다. 정재는 아버지가 맞긴 하지만, 혜택을 못 주는 아버지나 집안의 아버지 역할을 제대로 못하는 사람에 해당합니다.



어머니 = 인성(印星)으로 해석합니다.

남, 녀를 불문하고 인성은 어머니에 해당합니다.

인성은 일간을 생해주는 성분인데 나에게 보살핌을 주고 베풀어주는 에너지입니다. 정인은 친어머니이자 나에게 어머니 역할을 제대로 해주고 사랑을 주는 어머니입니다. 반대로 편인은 어머니이긴 한데 어머니 노릇을 제대로 못하거나 사랑을 주어도 조건부로 주는 어머니에 해당합니다. 



형제 = 비겁(比劫)으로 해석합니다.

남, 녀를 불문하고 비겁은 형제에 해당합니다.

비겁은 일간과 같은 에너지를 말합니다. 이것은 육친으로 보면 어깨를 나란히 하는 형제에 해당합니다. 사회적인 활동으로 확장해보면 친구, 동료라고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겁재는 주로 내 것을 빼앗는다는 의미가 강합니다. 이것은 주로 형제와의 사이가 나쁘거나 무덕함으로 나타나기도하고 비겁은 재성을 극하기 때문에 아버지의 혜택을 입지 못하기도 합니다.



배우자 = 남자에겐 재성(財星), 여자에겐 관성(官星)

남자에게 배우자는 재성에 해당합니다. 행동유형을 살펴보면 재성은 나의 활동과 노력, 행동을 통해서 성취해내는 결과에 해당합니다. 과거의 시대배경을 살펴보았을 때 사회활동은 오로지 남자가 해왔습니다. 현대에는 이런 말이 무색할 정도로 남자 여자를 가리지 않고 왕성하게 사회활동을 합니다만, 혼인을 하고 아이를 낳게되면 여전히 남성이 사회활동을 더 왕성하게 합니다. 

여성에게 배우자는 관성에 해당합니다. 관성은 시스템, 통제, 조직, 울타리 등을 의미합니다. 나를 보호해주고 지켜주는 성분이 됩니다. 이런 점을 행동유형으로 봤을 때 남성은 밖에서 사회활동을 하고 여성은 남성의 보호를 받으면서 집안살림을 합니다. 역시 현대시대에 넘어와서 여전히 여자는 남성의 보호를 받습니다.


자식 = 남성에게는 관성(官星), 여성에게는 식상(食傷)에 해당합니다.

남자에게 자식은 관성이 됩니다. 아버지는 자식을 안전하게 보살펴주고 울타리를 만들어 줍니다.

여자에게 자식은 식상이 됩니다. 어머니는 자식을 기르고, 양육하고, 베풀고, 나누어주는 입장이 됩니다. 


암기하는 것도 좋지만, 행동양식을 통해 이해하는게 더 중요합니다.^^

육신의 이해 2편을 마칩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