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일주론으로 모두 판단하는 것은 바보같은 짓입니다만...오늘은 재미로 보는 차원에서!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관찰한 것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ㅎㅎ 을사일주의 물상으로는 초록뱀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신살로는 금여록이 위치해 있고요? 일주는 목욕지 위에 앉아있습니다. 목욕지+금여록이니 예쁘고 블링블링한 것들을 가까이 하게 되고 고급진 물건을 잘 구입하기도 하며 잘생기고 예쁜 사람들을 유독 좋아하는 경향이 있어요.   남들이 보기에도 좀 예뻐보여야 하고 드러내고 뽐내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이성을 선택할 때도 좀 키크고 잘생긴 사람들을 좋아하고 그렇습니다. 요즘 젊은 사람들의 연애관이 남녀 모두 상대의 외모를 비중있게 보는 사람들이 많이 증가했다고는 하지만 신살로보나...육신으로 보나...을사일주는 특히나 남자의 생김새나 큰 키(덤으로 근육질이면 좋고)을 비중있게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지로는 巳 상관이니 자신을 화끈하게 드러내기를 좋아하고 놀기 좋아하는 면모도 있습니다.   놀 때는 화끈하게, 남자를 고를 때도 그렇습니다. 巳의 지장간에는 庚정관이 암장되어있고 일간을 합을 하고 있는 모양새가 되죠. 그러니 남자와 항상 연관되어있거나 인연이 잘 닿기도 합니다. 항상 관성과 연결되어 있는 모양이 되므로 남자를 자주 접하게 되겠죠. 주변에 방해하는 글자나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요? 이들은 자기 맘에 드는 남자에게 잘 대쉬하거나 적극적인 모습으로 어필하기도 합니다. 그래도 여자는 여자니까 직접적으로 테토남처럼 들이댄다기 보다도 적당히 눈치를 주거나 자신의 연애관이나 상황을 맘에 드는 이성에게 잘 공유하기도 합니다.   한 사례로는 평소 헬스장에서 맘에 드는 이성을 눈여겨 보았다가 기회를 봐서 말을 걸거나 들이대서 인스타를 따기도? 합니다. 보통의 여성은 그런 경우가 잘 없지만 식신과 달리 을사일주의 상관은 목욕지를 품에 안은 상관이죠 😆 😆  목욕지는 잘 드러내고 벗기도 하는 12운성...

[로운사주명리] 지장간(支藏干)의 이해


 [로운사주명리] 지장간(支藏干)의 이해


  1. 지장간이란?
  • 지장간은 지지 속에 숨은 천간글자를 말합니다.

12가지의 지지속에 제각각 다른 지장간의 글자들이 숨어있습니다.

지장간은 여기, 본기, 중기 세 가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계절의 왕쇠를 다루었습니다.


여기 - 이전 계절의 기운이 아직 남아있는 상태

중기 - 다음 계절이 오고 있는 상태

본기 - 해당 계절이 완연히 드러난 상태


예를 들어, 여름과 가을 두 계절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여기란 8월 뜨거운 여름이 지나고 9월 초가 된 상태를 말합니다. 

여름은 이미 끝났지만 사람들은 9월 초에는 아직 반팔을 입고 있죠. 

아직 여름의 기운이 다 가시지 않은 것을 여기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중기란 9월 중순이 되면 슬슬 일교차가 심해지면서 

사람들의 복장도 반팔에서 점점 긴팔로 변하기 시작합니다.아침과 밤에는 꽤나 쌀쌀해져서 옷이 두꺼워지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아직도 낮에는 덥기 때문에 완전한 가을이라 보기는 어렵습니다.

이것을 중기라 합니다.


본기란 10월이 되면서 본격적인 가을의 기운이 온 것을 말합니다.

날씨도 서늘하고 단풍도 지기 시작합니다.

계절이 본격적으로 색채를 드러난 것을 본기라 칭합니다.


  • 지장간의 해석

지장간은 은밀한, 드러나지 않은, 숨겨져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지지속에 숨어있는 글자로써... 천간이 숨겨져 있다고 보면 됩니다.

그러나, 무형의 상태입니다.

지장간은 실제 사주를 풀이해 볼 때 크게 비중을 차지하지 않습니다.

(통근과 투출, 입격자를 해석해 볼 땐 중히 봅니다.)

통근과 투출, 입격자는 숨어있던 지장간이 하늘인 천간과 연결되어 있으니 이미 드러나서 공론화되었다고 인정합니다.

사주는 지지를 가장 우선시해서 보며...

여기에 운(運), 음양, 자의론, 12운성, 12신살로 해석해 보기에도 시간이 꽤나 타이트하기 때문에 지장간을 요긴하게 해석하진 않습니다.

그러나, 운에서 지장간을 볼 때는 12운성과 연관지어 해석할 때 자주 씁니다.

배우자의 외도현상에 대해서도 자주 쓰이는데 그렇다고, 꼭 바람을 피운다고 단정 지을 순 없습니다.

배우자의 외도를 해석할 때는 중기의 합을 가장 우선시해서 보며 그 다음이 여기를 봅니다. 본기는 이미 드러난 상태이기 때문에

인정하지 않습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