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식신입묘 운運

[로운사주명리] 식신입묘 운運 오늘은 제 지인의 사주를 열어서 살펴보다가 내년부터 대운이 식신입묘에 들어가는 것을 발견했네요. 게다가 백호대살 대운이기도하고...다음에 만나게되면 방침을 어떻게 해야할지? 알려주거나 해야할 것 같습니다. 식신입묘 이 놈은 아주 고약한 운세죠. 식신은 최소한의 기초생활력을 의미하는데 정말 최소한의 것까지 의미하기 때문에 먹고, 자고, 입고, 일하고의 활동력이 박살이 날 수 있는 위중한 문제를 뜻하기 때문입니다. 식신입묘 대운이 되면 일단 환경과 조건이 갖추어진다는 뜻이고 세운이 되면 해당 사건이 발생하는 식입니다. 그러므로, 식신입묘 대운에서 식신입묘 세운을 만나면 큰 일이 발생을 합니다. 보통은 몸으로 떼우는 일들이 발생을 합니다. 여러가지 발현이 일어나는데 이 일이 다 일어나지는 않고 제가 좀 쎄게 말하기는 했는데 꼭 이렇게 똑같지는 않습니다. 다만, 제가 관찰했던 바에 의하면 이 중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가 있었습니다. 건강이 박살난다. (감기를 걸려도 몸이 이상하게 낫지를 않는다) 갑작스런 사고수로 다치거나 심하면 죽는다. 암이나 백혈병같은 매우 큰 질병에 걸린다. 세상살이에 피로감, 염증을 느껴서 극단적 선택을 한다. 우울증에 걸려 칩거생활을 한다. 반신불수가 되기도 한다. 사업이 망한다. 회사에서 잘려서 백수가 된다. 감옥을 간다. 병원에 장기간 누워있는다. 아랫사람, 수하인이 말썽을 일으킨다. 여자는 자식 문제로 아주 속을 썩는다. 남자는 장모님이 속을 썩인다. 그럼 이 거지같은 식신입묘 운을 도대체~ 어떻게 해야하나? 원래 활인업자들은 식신입묘 운에서도 충격을 완화시킬 수가 있습니다. 타인을 이롭게 하면서 자신에게 닥칠 살(殺)을 미리 덜어낼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의사의 경우 인성이 개박살난 놈이라고 해도 직접 수술행위를 집도하는 의사라면 면죄부를 얻게 됩니다. 좀 거지같죠?^^; 아니면 오늘 내일 하는 일이 항상 같고 조용한 직장생활을 하면 쬐끔 개운이 됩니다. 그마저도 안되면 일부러 자기가 사는 반경...

[로운사주명리] 지장간(支藏干)의 이해


 [로운사주명리] 지장간(支藏干)의 이해


  1. 지장간이란?
  • 지장간은 지지 속에 숨은 천간글자를 말합니다.

12가지의 지지속에 제각각 다른 지장간의 글자들이 숨어있습니다.

지장간은 여기, 본기, 중기 세 가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계절의 왕쇠를 다루었습니다.


여기 - 이전 계절의 기운이 아직 남아있는 상태

중기 - 다음 계절이 오고 있는 상태

본기 - 해당 계절이 완연히 드러난 상태


예를 들어, 여름과 가을 두 계절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여기란 8월 뜨거운 여름이 지나고 9월 초가 된 상태를 말합니다. 

여름은 이미 끝났지만 사람들은 9월 초에는 아직 반팔을 입고 있죠. 

아직 여름의 기운이 다 가시지 않은 것을 여기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중기란 9월 중순이 되면 슬슬 일교차가 심해지면서 

사람들의 복장도 반팔에서 점점 긴팔로 변하기 시작합니다.아침과 밤에는 꽤나 쌀쌀해져서 옷이 두꺼워지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아직도 낮에는 덥기 때문에 완전한 가을이라 보기는 어렵습니다.

이것을 중기라 합니다.


본기란 10월이 되면서 본격적인 가을의 기운이 온 것을 말합니다.

날씨도 서늘하고 단풍도 지기 시작합니다.

계절이 본격적으로 색채를 드러난 것을 본기라 칭합니다.


  • 지장간의 해석

지장간은 은밀한, 드러나지 않은, 숨겨져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지지속에 숨어있는 글자로써... 천간이 숨겨져 있다고 보면 됩니다.

그러나, 무형의 상태입니다.

지장간은 실제 사주를 풀이해 볼 때 크게 비중을 차지하지 않습니다.

(통근과 투출, 입격자를 해석해 볼 땐 중히 봅니다.)

통근과 투출, 입격자는 숨어있던 지장간이 하늘인 천간과 연결되어 있으니 이미 드러나서 공론화되었다고 인정합니다.

사주는 지지를 가장 우선시해서 보며...

여기에 운(運), 음양, 자의론, 12운성, 12신살로 해석해 보기에도 시간이 꽤나 타이트하기 때문에 지장간을 요긴하게 해석하진 않습니다.

그러나, 운에서 지장간을 볼 때는 12운성과 연관지어 해석할 때 자주 씁니다.

배우자의 외도현상에 대해서도 자주 쓰이는데 그렇다고, 꼭 바람을 피운다고 단정 지을 순 없습니다.

배우자의 외도를 해석할 때는 중기의 합을 가장 우선시해서 보며 그 다음이 여기를 봅니다. 본기는 이미 드러난 상태이기 때문에

인정하지 않습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