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2026년인 丙午년은 무슨일이 일어날까

 [로운사주명리] 2026년인 丙午년은 무슨일이 일어날까 사색의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내년 병오년은 무슨일이 일어날까요? 午는 태양이 가장 높이 위치하는 시간이며 만물의 그림자가 가장 짧아지는 시간대가 되므로 어둠(陰)이 존재할수가 없는 순간이 됩니다. 비밀, 사기, 비리, 부정의 존재들이 만천하에 드러나는 해가 될 것이고 대중들의 앎이 따라오게 되리라 생각합니다. 丙午이니 완전한 불바다 해가 되어버립니다. 너도 알고 나도 아는 상태가 되어버린단 얘기죠. 지금처럼 음모론에 위치하거나 은폐중인 것들이 다 드러나게 될 것이라 봅니다. 午는 지장간도 丙 己 丁으로 음양이 극단인 양(陽)으로 치닫아 버리게 됩니다. 그러니 水의 물상은 작살이 나버리게 될 겁니다. 水의 물상? 뭐가 있을까요? 북방에 위치한 국가들의 몰락을 예상해볼 수 있을 것이고...생명의 근간인 水를 건드리게 되니 많은 생명들이 위협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午는 점심시간에 해당하는 시간이므로 산업, 납기를 지키는 일은 자꾸 중단, 단절사가 발생하게 될 것이고 많은 업종들의 생계가 문제가 생기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丙은 태양빛이자 만물을 공정하게 해주는 글자이므로 시시비비를 가리는 일, 법적인 일에서는 명명백백 잘못한 것들이 다 드러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午에는 드러내고 조명을 받는 글자이므로 문화, 예술, 교육 등에서의 발전이 따르게 될 것으로 보이고 시각에 많이 의존하는 분야인 AI의 발전도 기대해 볼만 합니다.  또한 午월(6월)은 장마철이 아닙니까? 장마철에는 저수지, 강물의 범람, 천재지변으로 인해 사유 재산의 위협이 발생을 하게 됩니다. 심하면 목숨을 잃기도 합니다. 그러니, 재수 없으면 나한테도 불가항력적인 큰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火가 이렇게나 강력하면 金의 물상도 몰락하게 됩니다. 그러니 서방의 국가들도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봅니다. 금을 녹여버리므로 금융에서도 큰 혁신, 변화가 발생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금속,...

[로운사주명리] 지장간(支藏干)의 이해


 [로운사주명리] 지장간(支藏干)의 이해


  1. 지장간이란?
  • 지장간은 지지 속에 숨은 천간글자를 말합니다.

12가지의 지지속에 제각각 다른 지장간의 글자들이 숨어있습니다.

지장간은 여기, 본기, 중기 세 가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계절의 왕쇠를 다루었습니다.


여기 - 이전 계절의 기운이 아직 남아있는 상태

중기 - 다음 계절이 오고 있는 상태

본기 - 해당 계절이 완연히 드러난 상태


예를 들어, 여름과 가을 두 계절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여기란 8월 뜨거운 여름이 지나고 9월 초가 된 상태를 말합니다. 

여름은 이미 끝났지만 사람들은 9월 초에는 아직 반팔을 입고 있죠. 

아직 여름의 기운이 다 가시지 않은 것을 여기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중기란 9월 중순이 되면 슬슬 일교차가 심해지면서 

사람들의 복장도 반팔에서 점점 긴팔로 변하기 시작합니다.아침과 밤에는 꽤나 쌀쌀해져서 옷이 두꺼워지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아직도 낮에는 덥기 때문에 완전한 가을이라 보기는 어렵습니다.

이것을 중기라 합니다.


본기란 10월이 되면서 본격적인 가을의 기운이 온 것을 말합니다.

날씨도 서늘하고 단풍도 지기 시작합니다.

계절이 본격적으로 색채를 드러난 것을 본기라 칭합니다.


  • 지장간의 해석

지장간은 은밀한, 드러나지 않은, 숨겨져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지지속에 숨어있는 글자로써... 천간이 숨겨져 있다고 보면 됩니다.

그러나, 무형의 상태입니다.

지장간은 실제 사주를 풀이해 볼 때 크게 비중을 차지하지 않습니다.

(통근과 투출, 입격자를 해석해 볼 땐 중히 봅니다.)

통근과 투출, 입격자는 숨어있던 지장간이 하늘인 천간과 연결되어 있으니 이미 드러나서 공론화되었다고 인정합니다.

사주는 지지를 가장 우선시해서 보며...

여기에 운(運), 음양, 자의론, 12운성, 12신살로 해석해 보기에도 시간이 꽤나 타이트하기 때문에 지장간을 요긴하게 해석하진 않습니다.

그러나, 운에서 지장간을 볼 때는 12운성과 연관지어 해석할 때 자주 씁니다.

배우자의 외도현상에 대해서도 자주 쓰이는데 그렇다고, 꼭 바람을 피운다고 단정 지을 순 없습니다.

배우자의 외도를 해석할 때는 중기의 합을 가장 우선시해서 보며 그 다음이 여기를 봅니다. 본기는 이미 드러난 상태이기 때문에

인정하지 않습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