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일주론으로 모두 판단하는 것은 바보같은 짓입니다만...오늘은 재미로 보는 차원에서!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관찰한 것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ㅎㅎ 을사일주의 물상으로는 초록뱀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신살로는 금여록이 위치해 있고요? 일주는 목욕지 위에 앉아있습니다. 목욕지+금여록이니 예쁘고 블링블링한 것들을 가까이 하게 되고 고급진 물건을 잘 구입하기도 하며 잘생기고 예쁜 사람들을 유독 좋아하는 경향이 있어요.   남들이 보기에도 좀 예뻐보여야 하고 드러내고 뽐내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이성을 선택할 때도 좀 키크고 잘생긴 사람들을 좋아하고 그렇습니다. 요즘 젊은 사람들의 연애관이 남녀 모두 상대의 외모를 비중있게 보는 사람들이 많이 증가했다고는 하지만 신살로보나...육신으로 보나...을사일주는 특히나 남자의 생김새나 큰 키(덤으로 근육질이면 좋고)을 비중있게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지로는 巳 상관이니 자신을 화끈하게 드러내기를 좋아하고 놀기 좋아하는 면모도 있습니다.   놀 때는 화끈하게, 남자를 고를 때도 그렇습니다. 巳의 지장간에는 庚정관이 암장되어있고 일간을 합을 하고 있는 모양새가 되죠. 그러니 남자와 항상 연관되어있거나 인연이 잘 닿기도 합니다. 항상 관성과 연결되어 있는 모양이 되므로 남자를 자주 접하게 되겠죠. 주변에 방해하는 글자나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요? 이들은 자기 맘에 드는 남자에게 잘 대쉬하거나 적극적인 모습으로 어필하기도 합니다. 그래도 여자는 여자니까 직접적으로 테토남처럼 들이댄다기 보다도 적당히 눈치를 주거나 자신의 연애관이나 상황을 맘에 드는 이성에게 잘 공유하기도 합니다.   한 사례로는 평소 헬스장에서 맘에 드는 이성을 눈여겨 보았다가 기회를 봐서 말을 걸거나 들이대서 인스타를 따기도? 합니다. 보통의 여성은 그런 경우가 잘 없지만 식신과 달리 을사일주의 상관은 목욕지를 품에 안은 상관이죠 😆 😆  목욕지는 잘 드러내고 벗기도 하는 12운성...

[로운사주명리] 오행(五行)의 개념



 [로운사주명리] 오행(五行)의 개념


사주팔자를 잘 모르시더라도 오행이란 개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오행은 목화토금수 다섯가지의 기운(에너지)으로 나뉩니다. 이 다섯가지 원소는 서로 상생, 상극 운동을 합니다. 상생의 개념은 서로 도와준다는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반대로 상극은 서로를 극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저는 오행술사가 아니기 때문에 간단히 개념만 잡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목생화(木生火) : 나무는 자신을 태워 불의 힘을 키워줍니다

화생토(火生土) : 불은 연소되면 땅에게 흡수됩니다.

토생금(土生金) : 흙은 광물(金)을 더 단단하게 해줍니다.

금생수(金生水) : 금은 물을 여과시켜 깨끗하게 만들어줍니다.

수생목(水生木) : 물은 나무에게 영양분을 공급해주어 잘 자라게 합니다.


반대로 상극의 개념도 쉽습니다


목극토(木克土) : 나무는 땅속에 뿌리를 내려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토극수(土克水) : 흙은 물을 흐리고 탁하게 만듭니다.

수극화(水克火) : 물은 불을 꺼트립니다.

화극금(火克金) : 불은 금을 달구어 녹여버립니다.

금극목(金克木) : 금은 나무를 베어 절단시킵니다.


이 5가지의 오행의 운동의 개념도 설명하겠습니다.


목(木) : 계절로는 봄에 해당합니다. 겨울을 지나 생명이 새롭게 태동하는 계절입니다. 나무는 위로 곧게 자라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로지 한 방향을 향해 직선운동을 합니다. 기획, 계몽, 아이디어, 설립, 무에서 유를 발현, 창조 등 뚫고 나오는 기운입니다. 땅 속에서 기운이 자라나고 있었지만 눈으로는 안보이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이제 막 땅을 뚫고 밖으로 생성된 기운입니다. 봄에는 생명의 기운이 완연한 계절입니다. 인간의 수명과도 연관이 있는데 목기운이 하나도 없으면 수명에서 불안인자로 봅니다.


화(火) : 계절로는 여름에 해당합니다. 불은 주위를 환하게 비추고 어둠을 밝힙니다. 힘을 키울수록 무한정 커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재료가 연소되면 순식간에 사라져버립니다. 화기운이 많으면 성미가 급하고 활동력이 강하지만 분주하고 동분서주해서 실속은 없을 수가 있습니다. 물건을 잘 찾고 비밀을 싫어해서 자꾸만 밝히려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구설, 싸움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토(土) : 계절로는 환절기에 해당합니다. 토기운은 계절을 열고 닫는 이중운동을 합니다. 원소들중에서 순일한 기운은 아니며 복합적인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광활한 대지이자 산이며 원소들의 밑바탕에서 우직하게 지지해줍니다. 신의, 의리를 중시합니다. 중립을 담당하기 때문에 중개자, 중재자, 소개, 상담업 등에서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금(金) : 계절로는 가을에 해당합니다. 가을은 곡식을 수확하고 거두며 결실을 보는 계절입니다. 그래서 금은 결과물로 보기도 합니다. 결과물을 본다는 것은 실력이 있다는 말도 됩니다. 실리를 추구하며 권력, 실력을 의미하는 글자입니다. 원리원칙을 매우 중요시합니다. 결단력, 카리스마가 있지만 예리하고 애매모호한 것을 싫어합니다. 


수(水) : 계절로는 겨울에 해당합니다. 대지가 척박해지고 황량해집니다. 대지 위에 죽음이 감돌고 모든 것을 안으로 수렴하는 기운입니다. 물은 유리컵의 모양에 따라 자유자재로 모양을 바꿀 수 있습니다. 사회생활에서 처세술이 좋은 편이고 유연하게 바꿀 수 있습니다. 강물은 겉으론 잔잔하고 평온해 보이지만 그 속에는 수많은 생명이 살고 태동하고 있습니다. 비밀이 많고 속내를 잘 알기 어려운 기운이 수기운입니다. 밖으로 드러내는것이 아닌 안으로 수렴하는 기운이기 때문에 사색, 철학, 종교, 역학 등 정신세계에 관심이 많습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