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중급명리공부] 대운에서 천간과 지지의 비중?

  [중급명리공부] 대운에서 천간과 지지의 비중? 천간5년, 지지5년? 대 운에서 천간이 매우 중요한 것이 아니냐? 는 질문을 종종 받곤 합니다. 그리고 5년씩 끊어서 나누어봐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말도 있는데요. 어떤 학파에서는 '5년은 천간이 작동하고 나머지 5년은 지지가 작동한다'고 하는데 그냥 10년의 기간동안 천간과 지지가 동시에 작용한다고 아시면 됩니다. 베x킨 아이스크림 골라먹는 것도 아니고 5년만 천간이 작동하면 그 시간에 지지는 손가락이나 빨고 있으려나요 😊  그러면 이 대운에서 천간과 지지는 각각 어떻게 작용을 하느냐~ ◎癸◎◎ ◎◎亥◎ --------------------丁卯대운 천간으로는 편재가 들어오고 지지로는 식신이 들어옵니다. 卯대운이면서 천을귀인+문창귀인 입니다. 문창귀인이니 임기응변, 두뇌회전이 잘 되는 천을귀인이니 결혼할 사람을 만나기도 하고 인생을 이끌어줄 귀인을 만나기도 합니다. 아니면 사업아이템, 직업아이템, 공부거리 등 인연을 만나기도 하겠죠. 그럼 천간 丁편재는? 천간은 무형, 정신, 이상, 상징물이 되는데 公적인 인물이나 정치인, 연예인, 유명인에 있거나 하지 않는 이상 일반인들에게는 영향력이 별로 없습니다. 생각, 관념은 존재하지만 손으로 잡을 수 없습니다..공적인 인물은 상징물에 해당하지만 우리 같은 일반 사람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지지는 유형, 혼합물, 현실, 실체이니 피부로 직접 느끼거나 직격으로 와닿게 됩니다. 남자기준에서는 丁편재이니 재물에 대한 관념이나 생각이 강해지는 시기이고 이성에 대한 호기심이 강하게 형성되겠죠. 하지만, 실제로는 卯식신의 일이 나 자신 또는 주변에서 일어나게 됩니다.  ◎甲◎辛 ◎◎◎◎ ----------------------甲寅대운 대운 복음운입니다. 대운의 복음운은 그래도 꽤 작용력이 있는 편입니다. 복음운에서는 나를 쳐다보거나 집중하는 요소들이 많으므로 함부로 움직일 수가 없습니다. 명예적인 측면에서는 굉장히 좋지만 반대로 실속면에서는 별로 안 좋습니...

[로운사주명리] 오행(五行)의 개념



 [로운사주명리] 오행(五行)의 개념


사주팔자를 잘 모르시더라도 오행이란 개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오행은 목화토금수 다섯가지의 기운(에너지)으로 나뉩니다. 이 다섯가지 원소는 서로 상생, 상극 운동을 합니다. 상생의 개념은 서로 도와준다는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반대로 상극은 서로를 극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저는 오행술사가 아니기 때문에 간단히 개념만 잡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목생화(木生火) : 나무는 자신을 태워 불의 힘을 키워줍니다

화생토(火生土) : 불은 연소되면 땅에게 흡수됩니다.

토생금(土生金) : 흙은 광물(金)을 더 단단하게 해줍니다.

금생수(金生水) : 금은 물을 여과시켜 깨끗하게 만들어줍니다.

수생목(水生木) : 물은 나무에게 영양분을 공급해주어 잘 자라게 합니다.


반대로 상극의 개념도 쉽습니다


목극토(木克土) : 나무는 땅속에 뿌리를 내려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토극수(土克水) : 흙은 물을 흐리고 탁하게 만듭니다.

수극화(水克火) : 물은 불을 꺼트립니다.

화극금(火克金) : 불은 금을 달구어 녹여버립니다.

금극목(金克木) : 금은 나무를 베어 절단시킵니다.


이 5가지의 오행의 운동의 개념도 설명하겠습니다.


목(木) : 계절로는 봄에 해당합니다. 겨울을 지나 생명이 새롭게 태동하는 계절입니다. 나무는 위로 곧게 자라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로지 한 방향을 향해 직선운동을 합니다. 기획, 계몽, 아이디어, 설립, 무에서 유를 발현, 창조 등 뚫고 나오는 기운입니다. 땅 속에서 기운이 자라나고 있었지만 눈으로는 안보이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이제 막 땅을 뚫고 밖으로 생성된 기운입니다. 봄에는 생명의 기운이 완연한 계절입니다. 인간의 수명과도 연관이 있는데 목기운이 하나도 없으면 수명에서 불안인자로 봅니다.


화(火) : 계절로는 여름에 해당합니다. 불은 주위를 환하게 비추고 어둠을 밝힙니다. 힘을 키울수록 무한정 커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재료가 연소되면 순식간에 사라져버립니다. 화기운이 많으면 성미가 급하고 활동력이 강하지만 분주하고 동분서주해서 실속은 없을 수가 있습니다. 물건을 잘 찾고 비밀을 싫어해서 자꾸만 밝히려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구설, 싸움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토(土) : 계절로는 환절기에 해당합니다. 토기운은 계절을 열고 닫는 이중운동을 합니다. 원소들중에서 순일한 기운은 아니며 복합적인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광활한 대지이자 산이며 원소들의 밑바탕에서 우직하게 지지해줍니다. 신의, 의리를 중시합니다. 중립을 담당하기 때문에 중개자, 중재자, 소개, 상담업 등에서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금(金) : 계절로는 가을에 해당합니다. 가을은 곡식을 수확하고 거두며 결실을 보는 계절입니다. 그래서 금은 결과물로 보기도 합니다. 결과물을 본다는 것은 실력이 있다는 말도 됩니다. 실리를 추구하며 권력, 실력을 의미하는 글자입니다. 원리원칙을 매우 중요시합니다. 결단력, 카리스마가 있지만 예리하고 애매모호한 것을 싫어합니다. 


수(水) : 계절로는 겨울에 해당합니다. 대지가 척박해지고 황량해집니다. 대지 위에 죽음이 감돌고 모든 것을 안으로 수렴하는 기운입니다. 물은 유리컵의 모양에 따라 자유자재로 모양을 바꿀 수 있습니다. 사회생활에서 처세술이 좋은 편이고 유연하게 바꿀 수 있습니다. 강물은 겉으론 잔잔하고 평온해 보이지만 그 속에는 수많은 생명이 살고 태동하고 있습니다. 비밀이 많고 속내를 잘 알기 어려운 기운이 수기운입니다. 밖으로 드러내는것이 아닌 안으로 수렴하는 기운이기 때문에 사색, 철학, 종교, 역학 등 정신세계에 관심이 많습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