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2026년인 丙午년은 무슨일이 일어날까

 [로운사주명리] 2026년인 丙午년은 무슨일이 일어날까 사색의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내년 병오년은 무슨일이 일어날까요? 午는 태양이 가장 높이 위치하는 시간이며 만물의 그림자가 가장 짧아지는 시간대가 되므로 어둠(陰)이 존재할수가 없는 순간이 됩니다. 비밀, 사기, 비리, 부정의 존재들이 만천하에 드러나는 해가 될 것이고 대중들의 앎이 따라오게 되리라 생각합니다. 丙午이니 완전한 불바다 해가 되어버립니다. 너도 알고 나도 아는 상태가 되어버린단 얘기죠. 지금처럼 음모론에 위치하거나 은폐중인 것들이 다 드러나게 될 것이라 봅니다. 午는 지장간도 丙 己 丁으로 음양이 극단인 양(陽)으로 치닫아 버리게 됩니다. 그러니 水의 물상은 작살이 나버리게 될 겁니다. 水의 물상? 뭐가 있을까요? 북방에 위치한 국가들의 몰락을 예상해볼 수 있을 것이고...생명의 근간인 水를 건드리게 되니 많은 생명들이 위협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午는 점심시간에 해당하는 시간이므로 산업, 납기를 지키는 일은 자꾸 중단, 단절사가 발생하게 될 것이고 많은 업종들의 생계가 문제가 생기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丙은 태양빛이자 만물을 공정하게 해주는 글자이므로 시시비비를 가리는 일, 법적인 일에서는 명명백백 잘못한 것들이 다 드러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午에는 드러내고 조명을 받는 글자이므로 문화, 예술, 교육 등에서의 발전이 따르게 될 것으로 보이고 시각에 많이 의존하는 분야인 AI의 발전도 기대해 볼만 합니다.  또한 午월(6월)은 장마철이 아닙니까? 장마철에는 저수지, 강물의 범람, 천재지변으로 인해 사유 재산의 위협이 발생을 하게 됩니다. 심하면 목숨을 잃기도 합니다. 그러니, 재수 없으면 나한테도 불가항력적인 큰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火가 이렇게나 강력하면 金의 물상도 몰락하게 됩니다. 그러니 서방의 국가들도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봅니다. 금을 녹여버리므로 금융에서도 큰 혁신, 변화가 발생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금속,...

[로운사주명리] 오행(五行)의 개념



 [로운사주명리] 오행(五行)의 개념


사주팔자를 잘 모르시더라도 오행이란 개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오행은 목화토금수 다섯가지의 기운(에너지)으로 나뉩니다. 이 다섯가지 원소는 서로 상생, 상극 운동을 합니다. 상생의 개념은 서로 도와준다는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반대로 상극은 서로를 극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저는 오행술사가 아니기 때문에 간단히 개념만 잡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목생화(木生火) : 나무는 자신을 태워 불의 힘을 키워줍니다

화생토(火生土) : 불은 연소되면 땅에게 흡수됩니다.

토생금(土生金) : 흙은 광물(金)을 더 단단하게 해줍니다.

금생수(金生水) : 금은 물을 여과시켜 깨끗하게 만들어줍니다.

수생목(水生木) : 물은 나무에게 영양분을 공급해주어 잘 자라게 합니다.


반대로 상극의 개념도 쉽습니다


목극토(木克土) : 나무는 땅속에 뿌리를 내려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토극수(土克水) : 흙은 물을 흐리고 탁하게 만듭니다.

수극화(水克火) : 물은 불을 꺼트립니다.

화극금(火克金) : 불은 금을 달구어 녹여버립니다.

금극목(金克木) : 금은 나무를 베어 절단시킵니다.


이 5가지의 오행의 운동의 개념도 설명하겠습니다.


목(木) : 계절로는 봄에 해당합니다. 겨울을 지나 생명이 새롭게 태동하는 계절입니다. 나무는 위로 곧게 자라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로지 한 방향을 향해 직선운동을 합니다. 기획, 계몽, 아이디어, 설립, 무에서 유를 발현, 창조 등 뚫고 나오는 기운입니다. 땅 속에서 기운이 자라나고 있었지만 눈으로는 안보이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이제 막 땅을 뚫고 밖으로 생성된 기운입니다. 봄에는 생명의 기운이 완연한 계절입니다. 인간의 수명과도 연관이 있는데 목기운이 하나도 없으면 수명에서 불안인자로 봅니다.


화(火) : 계절로는 여름에 해당합니다. 불은 주위를 환하게 비추고 어둠을 밝힙니다. 힘을 키울수록 무한정 커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재료가 연소되면 순식간에 사라져버립니다. 화기운이 많으면 성미가 급하고 활동력이 강하지만 분주하고 동분서주해서 실속은 없을 수가 있습니다. 물건을 잘 찾고 비밀을 싫어해서 자꾸만 밝히려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구설, 싸움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토(土) : 계절로는 환절기에 해당합니다. 토기운은 계절을 열고 닫는 이중운동을 합니다. 원소들중에서 순일한 기운은 아니며 복합적인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광활한 대지이자 산이며 원소들의 밑바탕에서 우직하게 지지해줍니다. 신의, 의리를 중시합니다. 중립을 담당하기 때문에 중개자, 중재자, 소개, 상담업 등에서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금(金) : 계절로는 가을에 해당합니다. 가을은 곡식을 수확하고 거두며 결실을 보는 계절입니다. 그래서 금은 결과물로 보기도 합니다. 결과물을 본다는 것은 실력이 있다는 말도 됩니다. 실리를 추구하며 권력, 실력을 의미하는 글자입니다. 원리원칙을 매우 중요시합니다. 결단력, 카리스마가 있지만 예리하고 애매모호한 것을 싫어합니다. 


수(水) : 계절로는 겨울에 해당합니다. 대지가 척박해지고 황량해집니다. 대지 위에 죽음이 감돌고 모든 것을 안으로 수렴하는 기운입니다. 물은 유리컵의 모양에 따라 자유자재로 모양을 바꿀 수 있습니다. 사회생활에서 처세술이 좋은 편이고 유연하게 바꿀 수 있습니다. 강물은 겉으론 잔잔하고 평온해 보이지만 그 속에는 수많은 생명이 살고 태동하고 있습니다. 비밀이 많고 속내를 잘 알기 어려운 기운이 수기운입니다. 밖으로 드러내는것이 아닌 안으로 수렴하는 기운이기 때문에 사색, 철학, 종교, 역학 등 정신세계에 관심이 많습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