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식신입묘 운運

[로운사주명리] 식신입묘 운運 오늘은 제 지인의 사주를 열어서 살펴보다가 내년부터 대운이 식신입묘에 들어가는 것을 발견했네요. 게다가 백호대살 대운이기도하고...다음에 만나게되면 방침을 어떻게 해야할지? 알려주거나 해야할 것 같습니다. 식신입묘 이 놈은 아주 고약한 운세죠. 식신은 최소한의 기초생활력을 의미하는데 정말 최소한의 것까지 의미하기 때문에 먹고, 자고, 입고, 일하고의 활동력이 박살이 날 수 있는 위중한 문제를 뜻하기 때문입니다. 식신입묘 대운이 되면 일단 환경과 조건이 갖추어진다는 뜻이고 세운이 되면 해당 사건이 발생하는 식입니다. 그러므로, 식신입묘 대운에서 식신입묘 세운을 만나면 큰 일이 발생을 합니다. 보통은 몸으로 떼우는 일들이 발생을 합니다. 여러가지 발현이 일어나는데 이 일이 다 일어나지는 않고 제가 좀 쎄게 말하기는 했는데 꼭 이렇게 똑같지는 않습니다. 다만, 제가 관찰했던 바에 의하면 이 중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가 있었습니다. 건강이 박살난다. (감기를 걸려도 몸이 이상하게 낫지를 않는다) 갑작스런 사고수로 다치거나 심하면 죽는다. 암이나 백혈병같은 매우 큰 질병에 걸린다. 세상살이에 피로감, 염증을 느껴서 극단적 선택을 한다. 우울증에 걸려 칩거생활을 한다. 반신불수가 되기도 한다. 사업이 망한다. 회사에서 잘려서 백수가 된다. 감옥을 간다. 병원에 장기간 누워있는다. 아랫사람, 수하인이 말썽을 일으킨다. 여자는 자식 문제로 아주 속을 썩는다. 남자는 장모님이 속을 썩인다. 그럼 이 거지같은 식신입묘 운을 도대체~ 어떻게 해야하나? 원래 활인업자들은 식신입묘 운에서도 충격을 완화시킬 수가 있습니다. 타인을 이롭게 하면서 자신에게 닥칠 살(殺)을 미리 덜어낼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의사의 경우 인성이 개박살난 놈이라고 해도 직접 수술행위를 집도하는 의사라면 면죄부를 얻게 됩니다. 좀 거지같죠?^^; 아니면 오늘 내일 하는 일이 항상 같고 조용한 직장생활을 하면 쬐끔 개운이 됩니다. 그마저도 안되면 일부러 자기가 사는 반경...

[로운사주명리] 육신의 이해

 [로운사주명리] 육신의 이해


육신은 사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관법이면서 통변의 꽃이라고 불리웁니다. 12운성, 12신살을 무시하는 학파에서도 이 육신만큼은 반드시 쓰는 관법입니다. 그만큼 다루기 어렵지 않고 각 특성을 익혀두기만 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육신만큼은 빠삭하게 알고 있는 술사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육신만으로는 해석의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육신을 포함한 자의론, 12신살, 12운성, 음양을 모두 적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여러 술사들이 인정하지 않는 부분들이 많이 있죠.


아무튼...계속하자면 이 육신은 일간 더하기 5가지의 성분을 말합니다. 일간은 아시다시피 사주의 주인이자 근원을 말합니다. 나머지 5가지는 비겁, 식상, 재성, 관성, 인성 이렇게 쓰입니다.




비겁은 사주의 일간과 동일한 주체를 말합니다. 이것은 형제자매로 볼 수도 있고 친구, 동료 등으로 인식할 수도 있습니다. 일간에게 힘을 더해주는 성분입니다. 경쟁심, 투쟁심, 주체의식이 강하고 자기주관이 뚜렷합니다. 비겁은 신강사주를 가르는 핵심성분이며, 장악력과 리더십을 의미합니다.


식상은 일간이 생해주는 성분입니다. 일간이 에너지를 나누어주기 때문에...표출, 표현, 행동, 말재간 등으로 볼 수 있고 베풀어 나누고, 기르고, 양육하고, 키우는 성분입니다. 식신은 일정하게 베풀어주고 공평하게 대합니다. 반대로 상관은 베풀때는 확 퍼주다가 맘에 안들면 바로 거두어들이는 극단적인 성향이 있습니다.


재성은 현실감, 활동력, 활동무대, 활동의 근원, 결과물 등으로 보는데 대표적으로 재물을 의미합니다. 재성이 있다는 것은 그만큼 부지런하고 분주하게 무언가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재는 안정적인 의식주환경과 소득을 의미합니다. 벌어들이는 방식으론 대표적으로 꾸준히 나오는 월급이 있습니다.  편재는 한 번에 벌어들이고 한 번에 나가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대표적으론 사업이 있습니다.


인성은 나에게 힘을 실어주는 성분입니다. 신강사주를 나눌 때 많이들 헷갈려하시는데 인성은 신왕하다고 표현합니다. 신강은 무조건 비겁입니다. 어머니가 나를 보살펴주듯 안정감을 의미합니다. 인성은 학업, 계약, 문서, 수행, 자격, 면허 등을 의미합니다. 인내심과 조절력을 의미하기 때문에 인성이 있다는 것은 고도의 자격증이나 문서를 취득하기 유리합니다. 


관성은 나를 통제하는 성분입니다. 학생 때는 학교가 되겠고 직장인에게는 회사가 되겠습니다. 사업자에게는 납품 해주는 업체가 되겠고, 상업은 손님이 됩니다. 관성은 통제력, 법규, 질서, 규칙이 됩니다. 정관은 일반적인 행정 난이도의 업무이자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의미하지만 편관은 다소 난이도가 어려운 업무나 특수직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