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식신입묘 운運

[로운사주명리] 식신입묘 운運 오늘은 제 지인의 사주를 열어서 살펴보다가 내년부터 대운이 식신입묘에 들어가는 것을 발견했네요. 게다가 백호대살 대운이기도하고...다음에 만나게되면 방침을 어떻게 해야할지? 알려주거나 해야할 것 같습니다. 식신입묘 이 놈은 아주 고약한 운세죠. 식신은 최소한의 기초생활력을 의미하는데 정말 최소한의 것까지 의미하기 때문에 먹고, 자고, 입고, 일하고의 활동력이 박살이 날 수 있는 위중한 문제를 뜻하기 때문입니다. 식신입묘 대운이 되면 일단 환경과 조건이 갖추어진다는 뜻이고 세운이 되면 해당 사건이 발생하는 식입니다. 그러므로, 식신입묘 대운에서 식신입묘 세운을 만나면 큰 일이 발생을 합니다. 보통은 몸으로 떼우는 일들이 발생을 합니다. 여러가지 발현이 일어나는데 이 일이 다 일어나지는 않고 제가 좀 쎄게 말하기는 했는데 꼭 이렇게 똑같지는 않습니다. 다만, 제가 관찰했던 바에 의하면 이 중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가 있었습니다. 건강이 박살난다. (감기를 걸려도 몸이 이상하게 낫지를 않는다) 갑작스런 사고수로 다치거나 심하면 죽는다. 암이나 백혈병같은 매우 큰 질병에 걸린다. 세상살이에 피로감, 염증을 느껴서 극단적 선택을 한다. 우울증에 걸려 칩거생활을 한다. 반신불수가 되기도 한다. 사업이 망한다. 회사에서 잘려서 백수가 된다. 감옥을 간다. 병원에 장기간 누워있는다. 아랫사람, 수하인이 말썽을 일으킨다. 여자는 자식 문제로 아주 속을 썩는다. 남자는 장모님이 속을 썩인다. 그럼 이 거지같은 식신입묘 운을 도대체~ 어떻게 해야하나? 원래 활인업자들은 식신입묘 운에서도 충격을 완화시킬 수가 있습니다. 타인을 이롭게 하면서 자신에게 닥칠 살(殺)을 미리 덜어낼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의사의 경우 인성이 개박살난 놈이라고 해도 직접 수술행위를 집도하는 의사라면 면죄부를 얻게 됩니다. 좀 거지같죠?^^; 아니면 오늘 내일 하는 일이 항상 같고 조용한 직장생활을 하면 쬐끔 개운이 됩니다. 그마저도 안되면 일부러 자기가 사는 반경...

[로운사주명리] 부모운 보는 방법

 



[로운사주명리] 부모운 보는 방법


부모운은 현대사회에서 매우 중요하죠. 부모를 잘 만나느냐 못 만나느냐에 따라 삶이 휙휙 바뀌기도 하니까요~ 그래서 오늘은 부모운 보는방법을 한번 준비해봤습니다. 부모운을 보려면 일단 월주를 봐야 합니다. (부모형제궁은 월주입니다.)

월간은 아버지로 보고 월지를 어머니로 칭하기도 하지만 솔직히 순서는 별 상관이 없습니다. 우선, 인성은 어머니이고 재성은 아버지가 됩니다. 그리고 정인은 친어머니(제대로 어머니 역할을 하는 구조)라고 하기도 하지만 굳이 친어머니, 새어머니라고 외울 필요는 없어요.

편인이면 반쪽짜리 역할을 하는 어머니, 정인이면 온전히 제 역할을 하는 어머니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그리고 재성은 아버지인데...정재를 제대로 된 아버지라고 여기는 분들이 많은 걸로 압니다. (정재니까?) 하지만, 진정한 아버지는 정재가 아닌 편재가 됩니다.

왜냐하면 우주는 음양으로 되어있잖아요. 사주명리에서는 음양을 최우선의 원칙으로 여기게 되므로, 정인의 짝꿍은 정재가 아니라 편재가 됩니다.

자, 이 개념을 이제 이해하셨다면...온전한 부모님의 역할을 하는 것은 월주에 편재, 정인이 제대로 박혀있으면 정말 부모님의 혜택을 온전하게 받게 됩니다. 정서적으로든 경제적으로든 둘 중 하나는 받게 됩니다. 경제적으로 잘 못해주면 정신적으로라도 부모 역할을 채워주게 됩니다.

하지만, 가만보면 이런 구조가 많지가 않습니다. 년주로 튀어나가든지 일주로 튀어나가던지 재성이나 인성이 나가있단 말이죠. 대부분의 사주가 그렇습니다.

그래서 부모님의 역할이 불안정하게 됩니다. (부모님이 너무 엄격하던가, 두 분이 얼굴을 잘 안보고 살거나, 자주 다투거나, 편부모 가정이거나, 둘 중 한 분이 아프시거나, 아버지나 어머니가 두 분 이던지 말이죠.)

우리네 인생의 대부분의 사주가 그렇습니다. 아무튼 십신으로 한번 풀어보도록 하죠.


  • 월지에 비겁이 있을 때


성장과정에서 경제적인 혜택을 주기보다는 정신적으로 단련?을 시켜주는 부모님일 경우가 많습니다. 월지가 비겁이면 자수성가 사주가 될 확률이 높습니다. 어려서부터 가난해서 혼자 독립적으로 돈을 알아서 벌던가...세상과 부딪히면서 "반드시 지긋지긋한 가난을 내 손으로 끝내리라~" 울며 다짐하며 성장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온실속 화초가 되질 않고 야생마가 됩니다. 월지가 비겁인데 경제적으로 풍족하다면 형제들과 나눠먹을게 많다는 이야기도 됩니다. 아니면 부모님이 해외로 나가있던지 말이죠. 월지 비겁은 일찍 철이 들며 세상과 부딪히면서 독립적으로 성장할 힘을 얻게 됩니다. 


  • 월지에 식상이 있을 때

월지 식상은 성장과정에서 부모님께 받을 복이 많게 됩니다. 월지에 식신이 있으면 유산이라던가 상속이라던가 물려 받을 게 있다는 말이 됩니다. 아니면, 끼와 재능을 받았다던지 말이죠. 월지 식신은 대체로 좋게 보기는 한데 월지 상관은 좀 이야기가 다릅니다. 월지 상관은 부모님께 복을 엄청 받거나, 아니면 폭망하던가 둘 중에 하나입니다. 그래서 성장하게 되면 반드시 부모님 품을 떠나야만 합니다. 안그러면 계속 부모님 수발을 들던가 돈을 갖다 바쳐야 하기도 하거든요.

  • 월지에 관성이 있을 때

부모님께 간섭과 통제를 받으면서 성장하게 됩니다. 정관은 체면, 명예를 중시하는 가정에서 자랐다는 말이 됩니다. 주로, 합리적인 방식으로 적당~히 간섭과 통제를 가하게 됩니다. 그래서 가정교육을 잘 받으면서 자라기도 해요. 반대로 편관은 매우 혹독하다시피 엄격하거나 가혹한 가정환경에서 자랐다고 봅니다. 경제적으로 매우 가난해서 성장과정에서 핍박을 받았다고 보기도 합니다. 편관은 마치 통금 시간이 10시로 정해져 있는데 여기서 1~2분이라도 늦게되면 아버지가 눈이 시뻘개져서 불호령을 하거나 맴매를 하는 모습입니다. 편관은 경제적으로는 문제가 없는데 매우 엄격한 부모님을 두었거나 아니면 경제적으로 폭망해서 성장과정이 혹독하다고 보기도 합니다.

  • 월지에 인성이 있을 때

주로 부모님께 학문을 탐구해야 하는 가르침을 받았다고 봅니다. 연구, 논문, 박사, 학위 등 자격과 면허를 추구하는 성장과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마치 부모님이 교수인데 나도 그런 길을 걷는다는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정인은 합리적인 방식으로 가지만 편인은 경제적으로 핍박을 받는 환경에서 스스로 자라나야 한다고 보기도 합니다. 편인은 식신을 극하기 때문에 받을 복을 없애버리던가 아주 가난한 집에서 태어날 수도 있습니다. 

  • 월지에 재성이 있을 때

정재와 편재가 좀 다릅니다. 편재는 제대로 된 아버지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아버지로부터 받을 게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편재이므로 그 혜택이 불안정합니다. 엄청난 사업가 아버지이지만 막상 내가 유산을 타먹을 때가 되어서 보니 생각한것보다 별로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정재는 경제적으로 안정된 가정환경에서 자랐다고 판단합니다. 정재는 안정적인 재물이면서 꾸준한 것을 말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모친과의 불화가 있거나 아버지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건 아주 유용한 꿀팁이므로 잘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