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일주론으로 모두 판단하는 것은 바보같은 짓입니다만...오늘은 재미로 보는 차원에서!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관찰한 것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ㅎㅎ 을사일주의 물상으로는 초록뱀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신살로는 금여록이 위치해 있고요? 일주는 목욕지 위에 앉아있습니다. 목욕지+금여록이니 예쁘고 블링블링한 것들을 가까이 하게 되고 고급진 물건을 잘 구입하기도 하며 잘생기고 예쁜 사람들을 유독 좋아하는 경향이 있어요.   남들이 보기에도 좀 예뻐보여야 하고 드러내고 뽐내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이성을 선택할 때도 좀 키크고 잘생긴 사람들을 좋아하고 그렇습니다. 요즘 젊은 사람들의 연애관이 남녀 모두 상대의 외모를 비중있게 보는 사람들이 많이 증가했다고는 하지만 신살로보나...육신으로 보나...을사일주는 특히나 남자의 생김새나 큰 키(덤으로 근육질이면 좋고)을 비중있게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지로는 巳 상관이니 자신을 화끈하게 드러내기를 좋아하고 놀기 좋아하는 면모도 있습니다.   놀 때는 화끈하게, 남자를 고를 때도 그렇습니다. 巳의 지장간에는 庚정관이 암장되어있고 일간을 합을 하고 있는 모양새가 되죠. 그러니 남자와 항상 연관되어있거나 인연이 잘 닿기도 합니다. 항상 관성과 연결되어 있는 모양이 되므로 남자를 자주 접하게 되겠죠. 주변에 방해하는 글자나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요? 이들은 자기 맘에 드는 남자에게 잘 대쉬하거나 적극적인 모습으로 어필하기도 합니다. 그래도 여자는 여자니까 직접적으로 테토남처럼 들이댄다기 보다도 적당히 눈치를 주거나 자신의 연애관이나 상황을 맘에 드는 이성에게 잘 공유하기도 합니다.   한 사례로는 평소 헬스장에서 맘에 드는 이성을 눈여겨 보았다가 기회를 봐서 말을 걸거나 들이대서 인스타를 따기도? 합니다. 보통의 여성은 그런 경우가 잘 없지만 식신과 달리 을사일주의 상관은 목욕지를 품에 안은 상관이죠 😆 😆  목욕지는 잘 드러내고 벗기도 하는 12운성...

[로운사주명리] 설기와 극의 개념

 



[로운사주명리] 설기와 극의 개념


설기와 극의 개념은 기초적인 요소이면서 필수적인 개념이므로 이번 포스팅에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설기된다는 것은 생(生)을 해주는 오행의 힘이 빠져나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甲丙丁

◎午午◎

이런 구조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오행적으로 봤을 때 일간인 갑목은 불인 丙, 丁, 午를 생(生)해주게 되는데요.

일간인 나의 세력이 하나도 없는데 갑목은 火에게 자신의 에너지를 나누어주어야 합니다. 육신으로는 식상이 되겠죠?

이럴 때는 내 기운이 너무 많이 빠져나가게되므로 일간의 힘이 매우 약해지게 됩니다. 그래서 건강운적으로 봤을 때 木기운에 해당하는 부위가 매우 약해지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여러모로 분주하기는 한데...거뭐질 수 있는 힘이 약해서 용두사미로 끝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기저기 기웃기웃거리는건 잘하고 호기심이 매우 많지만 실질적으로 얻어가는 것은 적다는 이야기죠.

이것은 굳이 설기되어서 그렇다고 보기보다는 음양의 균형이 무너져서 그렇다는 개념으로 접근하는게 좋습니다. 식상이 많으면 결과물인 재성이 있어야 하고 식상을 적절히 억눌러 줄 수 있는 관성이 필요합니다.

이것을 그냥 척보면 척 알아야 하는 것이죠. 사주를 그림처럼 보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이럴 때는 수기운이 들어와주어서 일간인 木을 생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은 용신론적인 관점이기는 한데 건강운적으로는 일간용신법이 상당히 쓸만하거든요.

그리고 수기운이 들어와주게 되면 상관을 억누를 수 있는 인성이 들어와주므로 음양적인 개념으로 안정이 됩니다.

그렇다면 극이란 것은 또 무엇일까요?

◎甲庚辛

◎申申◎

극이라는 것은 상극을 말하는데, 목을 극하는것은 금이 됩니다. 즉, 관성이 됩니다. 관성이 너무 많아서 일간이 극을 당하게 되는 것인데요.

쉽게 말해서 갑목(나무)을 경금, 신금(도끼)으로 후두려팬다고 보면 이해가 빠릅니다. 일간이 매우 위태롭죠. 나를 통제하고 옭아매는 금기운이 너무 많으니 섣불리 움직일 수가 없습니다. 그랬다간 도끼질이 사방에서 날아오겠죠?

그래서, 주변의 눈치를 잘 보게 되고 스트레스에 매우 취약하게 됩니다. 질병에도 취약하게 됩니다. 설기와 마찬가지로 일간인 甲의 부위가 선천적으로 매우 취약하게 됩니다.

이 정도쯤 되면 甲인 木이 버텨낼 재간이 없으므로 해당 오행이 지지에 하나라도 있어주면 좋습니다. 그럼 이런 사주들은 망한 사주일까??

그런 개념으로 접근하면 사주 공부를 빙 돌아가게 되므로 있는 그대로 봐야 합니다. 이럴 때는 해당 간지인 火와 金을 따라서 직업을 가지면 좋습니다.

사주 내에서 설기를 하는 작용인 火와 극하는 작용인 金이 사주내에 드러난 글자이므로 이 해당글자들을 쓰면서 살아가면 됩니다.

용신법으로는 없는 것을 쓰라고 하지만 실은 그렇게 하면 안됩니다. 거꾸로 가는 거거든요. 사람은 사주 내에 드러나지 않은 것을 잘 쓰질 못합니다. (다뤄본 적이 없기 때문에)

팔자에 드러난 글자를 잘 쓰기만해도 괜찮습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