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식신입묘 운運

[로운사주명리] 식신입묘 운運 오늘은 제 지인의 사주를 열어서 살펴보다가 내년부터 대운이 식신입묘에 들어가는 것을 발견했네요. 게다가 백호대살 대운이기도하고...다음에 만나게되면 방침을 어떻게 해야할지? 알려주거나 해야할 것 같습니다. 식신입묘 이 놈은 아주 고약한 운세죠. 식신은 최소한의 기초생활력을 의미하는데 정말 최소한의 것까지 의미하기 때문에 먹고, 자고, 입고, 일하고의 활동력이 박살이 날 수 있는 위중한 문제를 뜻하기 때문입니다. 식신입묘 대운이 되면 일단 환경과 조건이 갖추어진다는 뜻이고 세운이 되면 해당 사건이 발생하는 식입니다. 그러므로, 식신입묘 대운에서 식신입묘 세운을 만나면 큰 일이 발생을 합니다. 보통은 몸으로 떼우는 일들이 발생을 합니다. 여러가지 발현이 일어나는데 이 일이 다 일어나지는 않고 제가 좀 쎄게 말하기는 했는데 꼭 이렇게 똑같지는 않습니다. 다만, 제가 관찰했던 바에 의하면 이 중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가 있었습니다. 건강이 박살난다. (감기를 걸려도 몸이 이상하게 낫지를 않는다) 갑작스런 사고수로 다치거나 심하면 죽는다. 암이나 백혈병같은 매우 큰 질병에 걸린다. 세상살이에 피로감, 염증을 느껴서 극단적 선택을 한다. 우울증에 걸려 칩거생활을 한다. 반신불수가 되기도 한다. 사업이 망한다. 회사에서 잘려서 백수가 된다. 감옥을 간다. 병원에 장기간 누워있는다. 아랫사람, 수하인이 말썽을 일으킨다. 여자는 자식 문제로 아주 속을 썩는다. 남자는 장모님이 속을 썩인다. 그럼 이 거지같은 식신입묘 운을 도대체~ 어떻게 해야하나? 원래 활인업자들은 식신입묘 운에서도 충격을 완화시킬 수가 있습니다. 타인을 이롭게 하면서 자신에게 닥칠 살(殺)을 미리 덜어낼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의사의 경우 인성이 개박살난 놈이라고 해도 직접 수술행위를 집도하는 의사라면 면죄부를 얻게 됩니다. 좀 거지같죠?^^; 아니면 오늘 내일 하는 일이 항상 같고 조용한 직장생활을 하면 쬐끔 개운이 됩니다. 그마저도 안되면 일부러 자기가 사는 반경...

[로운사주명리] 애정운에는 '이것'이 반드시 중요합니다

 

[로운사주명리] 

애정운에는 '이것'이 반드시 중요합니다


제가 요즘 부부상담을 많이 하다보니 일종의 패턴이 보입니다. 서로서로 표현 잘해주고 존중, 따뜻한 말 한마디 하는게 얼마나 중요한지를요~

엣헴...눈치가 빠르신분들은 이것이 무엇인지 아셨겠지만...바로 식상의 유무입니다. 식상이란것은 감성계에 속합니다. 남녀가 사랑을 하려면 감성이 중요합니다.

사랑을 머리로만 하나요? 

그렇다면 필시 그 관계는 오래갈 수 없습니다. 재성처럼 손해 안보겠다는 마인드, 관성처럼 외부적인 조건만 따지는 쪽으로 가면 안되고 식상이 있어야 서로 관심도 한번씩 가져주고 관리를 한다 이겁니다. 식상은 호기심이기도 하고 심하면 오지랖입니다.

그러니 식상이 적절히 있어주면 내 사랑도 나누어주고 내 돈도 나누어주고 간도 쓸개도 빼줄것 처럼 굴지 않겠습니까~~?

남,녀 모두 식상이 있어줘야 좋지만..여성의 경우는 더 심합니다. 여성의 경우에는 식상이 자식인자가 되므로 가족을 완성시키는 핵심적인 요소가 돼요. 이건 곧 무슨 말이냐? 남자가 보기에 성적 매력을 느끼는 요소가 됩니다.

그러므로, 식상이 없으면 남자를 오래 붙들기가 어렵습니다. 못해도 최소한 밥이라도 잘 차려주던가 애정표현이라도 잘해주어야 하죠. 아니면 자의론으로 子가 있어야합니다. 그래서 관성만 있다고 해서 남자운이 좋다고 보기가 어렵다는 얘기예요.

연애할 때 관성, 인성만 많고 식상이 없는 여성은 남자가 곧 잘 들이대지만 결국 도중에 포기해버리거나 흥미를 잃게 되어 떠나버리게 되어 끝인연을 맺기가 어렵게 됩니다.

그러나 결국 관성이 가장 중요하므로 인연을 맺기는 하겠지만..중간과정이 생략되므로 혜택이 불안정하다는 겁니다.

그럼 식상도 없고 子도 없으면... 그럼 뭐 포기해야하나?! 아니죠. 없으면 노력이라도 해야죠. 결국 따뜻한 말 한마디, 존중하는 태도, 인정하려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서로의 니즈를 충족시켜주어야 관계가 오래갈 것 아닙니까?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