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일주론으로 모두 판단하는 것은 바보같은 짓입니다만...오늘은 재미로 보는 차원에서!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관찰한 것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ㅎㅎ 을사일주의 물상으로는 초록뱀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신살로는 금여록이 위치해 있고요? 일주는 목욕지 위에 앉아있습니다. 목욕지+금여록이니 예쁘고 블링블링한 것들을 가까이 하게 되고 고급진 물건을 잘 구입하기도 하며 잘생기고 예쁜 사람들을 유독 좋아하는 경향이 있어요.   남들이 보기에도 좀 예뻐보여야 하고 드러내고 뽐내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이성을 선택할 때도 좀 키크고 잘생긴 사람들을 좋아하고 그렇습니다. 요즘 젊은 사람들의 연애관이 남녀 모두 상대의 외모를 비중있게 보는 사람들이 많이 증가했다고는 하지만 신살로보나...육신으로 보나...을사일주는 특히나 남자의 생김새나 큰 키(덤으로 근육질이면 좋고)을 비중있게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지로는 巳 상관이니 자신을 화끈하게 드러내기를 좋아하고 놀기 좋아하는 면모도 있습니다.   놀 때는 화끈하게, 남자를 고를 때도 그렇습니다. 巳의 지장간에는 庚정관이 암장되어있고 일간을 합을 하고 있는 모양새가 되죠. 그러니 남자와 항상 연관되어있거나 인연이 잘 닿기도 합니다. 항상 관성과 연결되어 있는 모양이 되므로 남자를 자주 접하게 되겠죠. 주변에 방해하는 글자나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요? 이들은 자기 맘에 드는 남자에게 잘 대쉬하거나 적극적인 모습으로 어필하기도 합니다. 그래도 여자는 여자니까 직접적으로 테토남처럼 들이댄다기 보다도 적당히 눈치를 주거나 자신의 연애관이나 상황을 맘에 드는 이성에게 잘 공유하기도 합니다.   한 사례로는 평소 헬스장에서 맘에 드는 이성을 눈여겨 보았다가 기회를 봐서 말을 걸거나 들이대서 인스타를 따기도? 합니다. 보통의 여성은 그런 경우가 잘 없지만 식신과 달리 을사일주의 상관은 목욕지를 품에 안은 상관이죠 😆 😆  목욕지는 잘 드러내고 벗기도 하는 12운성...

[로운사주명리] 10천간의 운동



[로운사주명리] 10천간의 운동


천간은 10개로 되어있으며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따로따로 보지말고 하나의 운동으로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甲은 첫번째니까 1등, 대장, CEO...戊는 다섯번째고 넓은 산맥을 말하니까 포용력이 좋고..이렇게 외우기보다는 하나로 이어져있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 甲은 가장 첫번째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것은 아무것도 없던 땅에서 자그맣게 싹이 모습을 드러낸 것입니다. 눈에만 안보일뿐이지 사실 땅 속에는 뿌리가 있죠. 이 갑목은 최초의 생각이자 아이디어가 되며 마인드가 됩니다.

그리고 이 싹은 점차 지속적으로 자라나서 나중에는 거목이 됩니다. 봄이 되면 싹이 자라나기 시작하고 생명의 기운이 왕성해지게 되죠.

갑목은 직선운동으로 최초의 생각이라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리고 乙은 이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고 기획, 수정, 설계하고 다듬게 됩니다. 그리고 丙이 되면 구체화시킨 기획을 의도를 가지고 드러냅니다. 그 동안 가다듬은 기획안들을 공식적으로 세상에 드러냅니다.

그리고 丁이 되면 어둠 속을 구석구석 낱낱이 밝히는 작용을 합니다. 丁일간들이 횃불, 화로, 촛불 등에 비유되는 이유가 丙이 만물에 태양빛을 내리쬐면서 빛으로 밝혀준다면 丁은 그늘에 가려진 곳조차도 샅샅이 밝혀준다는 의도에 있습니다. 여름철 태양볕은 아주 그 열기가 강렬하고 뜨겁습니다. 

그리고 戊己운동은 火에서 점차 꺾여들어가면서 수평운동을 하게됩니다. 이제 곡선운동을 멈추고 수평운동을 하면서 내리막을 준비하게 됩니다. 수평운동을 하므로 그 자체로 중립적입니다. 서로서로를 연결해주는 중개를 하기도 한다고 봅니다. 계절을 환기 시켜주는 환절기를 의미합니다. 

庚부터는 이제 수렴하고 수확하려는 동작을 취하게 됩니다. 이제 과정을 거쳤으니 결과물을 손에 넣고자 하고 결실을 보려고 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는 강제적인 물리력이 동반되는데 모체에서 열매를 분리하는 과정에서는 강제력이 동원됩니다. 손으로 쥐는 동작, 열매를 모체로부터 떼어내는 동작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金을 단절, 이별이라고도 보지요. 

辛이 되면 이제 상품화가 시작된 것입니다. 辛은 그 자체로 가치있는 물건이자 보석이 됩니다. 庚이 열매를 따는 동작을 취했다면 이제 辛은 열매를 포장해서 상품화를 시켜서 그 자체로 가치있는 물건이 됩니다. 

壬은 차가운 겨울땅이 되는데 펼치고 상승하는 火와 다르게 안으로 숨고 수렴하는 기운입니다. 壬은 태초의 씨앗으로 돌아가버리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바깥 세상과 단절을 하기도 하고 자신만의 세상으로 숨기도 합니다. 

그래서, 壬을 별종이라고 칭하기도 합니다. 의사 집안에서 예술가가 나오는거나 마찬가지입니다. 다음 싸이클의 시작인 甲을 위해 다시 씨앗으로 돌아가서 저장하고 수렴하는 것입니다.

癸가 되면 이제 세상밖으로 나올 준비를 마친 상태가 됩니다. 아직 드러나지는 않은 상태이지만 단단한 껍질을 깨고 나오기 직전의 상태가 됩니다. 그래서, 癸는 새로운 시작의 바로 전 상태이기 때문에 희망적이고 낙천적입니다. 癸를 수증기, 이슬, 식수 등 생명의 잉태라고 보는것이 이런 이유에서 입니다. 

이 모든 천간의 운동을 하나의 주기로 이어서보면 좀 더 도움이 되실것 같아서 포스팅을 준비해봤습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