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식신입묘 운運

[로운사주명리] 식신입묘 운運 오늘은 제 지인의 사주를 열어서 살펴보다가 내년부터 대운이 식신입묘에 들어가는 것을 발견했네요. 게다가 백호대살 대운이기도하고...다음에 만나게되면 방침을 어떻게 해야할지? 알려주거나 해야할 것 같습니다. 식신입묘 이 놈은 아주 고약한 운세죠. 식신은 최소한의 기초생활력을 의미하는데 정말 최소한의 것까지 의미하기 때문에 먹고, 자고, 입고, 일하고의 활동력이 박살이 날 수 있는 위중한 문제를 뜻하기 때문입니다. 식신입묘 대운이 되면 일단 환경과 조건이 갖추어진다는 뜻이고 세운이 되면 해당 사건이 발생하는 식입니다. 그러므로, 식신입묘 대운에서 식신입묘 세운을 만나면 큰 일이 발생을 합니다. 보통은 몸으로 떼우는 일들이 발생을 합니다. 여러가지 발현이 일어나는데 이 일이 다 일어나지는 않고 제가 좀 쎄게 말하기는 했는데 꼭 이렇게 똑같지는 않습니다. 다만, 제가 관찰했던 바에 의하면 이 중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가 있었습니다. 건강이 박살난다. (감기를 걸려도 몸이 이상하게 낫지를 않는다) 갑작스런 사고수로 다치거나 심하면 죽는다. 암이나 백혈병같은 매우 큰 질병에 걸린다. 세상살이에 피로감, 염증을 느껴서 극단적 선택을 한다. 우울증에 걸려 칩거생활을 한다. 반신불수가 되기도 한다. 사업이 망한다. 회사에서 잘려서 백수가 된다. 감옥을 간다. 병원에 장기간 누워있는다. 아랫사람, 수하인이 말썽을 일으킨다. 여자는 자식 문제로 아주 속을 썩는다. 남자는 장모님이 속을 썩인다. 그럼 이 거지같은 식신입묘 운을 도대체~ 어떻게 해야하나? 원래 활인업자들은 식신입묘 운에서도 충격을 완화시킬 수가 있습니다. 타인을 이롭게 하면서 자신에게 닥칠 살(殺)을 미리 덜어낼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의사의 경우 인성이 개박살난 놈이라고 해도 직접 수술행위를 집도하는 의사라면 면죄부를 얻게 됩니다. 좀 거지같죠?^^; 아니면 오늘 내일 하는 일이 항상 같고 조용한 직장생활을 하면 쬐끔 개운이 됩니다. 그마저도 안되면 일부러 자기가 사는 반경...

[로운사주명리] 10천간의 운동



[로운사주명리] 10천간의 운동


천간은 10개로 되어있으며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따로따로 보지말고 하나의 운동으로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甲은 첫번째니까 1등, 대장, CEO...戊는 다섯번째고 넓은 산맥을 말하니까 포용력이 좋고..이렇게 외우기보다는 하나로 이어져있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 甲은 가장 첫번째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것은 아무것도 없던 땅에서 자그맣게 싹이 모습을 드러낸 것입니다. 눈에만 안보일뿐이지 사실 땅 속에는 뿌리가 있죠. 이 갑목은 최초의 생각이자 아이디어가 되며 마인드가 됩니다.

그리고 이 싹은 점차 지속적으로 자라나서 나중에는 거목이 됩니다. 봄이 되면 싹이 자라나기 시작하고 생명의 기운이 왕성해지게 되죠.

갑목은 직선운동으로 최초의 생각이라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리고 乙은 이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고 기획, 수정, 설계하고 다듬게 됩니다. 그리고 丙이 되면 구체화시킨 기획을 의도를 가지고 드러냅니다. 그 동안 가다듬은 기획안들을 공식적으로 세상에 드러냅니다.

그리고 丁이 되면 어둠 속을 구석구석 낱낱이 밝히는 작용을 합니다. 丁일간들이 횃불, 화로, 촛불 등에 비유되는 이유가 丙이 만물에 태양빛을 내리쬐면서 빛으로 밝혀준다면 丁은 그늘에 가려진 곳조차도 샅샅이 밝혀준다는 의도에 있습니다. 여름철 태양볕은 아주 그 열기가 강렬하고 뜨겁습니다. 

그리고 戊己운동은 火에서 점차 꺾여들어가면서 수평운동을 하게됩니다. 이제 곡선운동을 멈추고 수평운동을 하면서 내리막을 준비하게 됩니다. 수평운동을 하므로 그 자체로 중립적입니다. 서로서로를 연결해주는 중개를 하기도 한다고 봅니다. 계절을 환기 시켜주는 환절기를 의미합니다. 

庚부터는 이제 수렴하고 수확하려는 동작을 취하게 됩니다. 이제 과정을 거쳤으니 결과물을 손에 넣고자 하고 결실을 보려고 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는 강제적인 물리력이 동반되는데 모체에서 열매를 분리하는 과정에서는 강제력이 동원됩니다. 손으로 쥐는 동작, 열매를 모체로부터 떼어내는 동작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金을 단절, 이별이라고도 보지요. 

辛이 되면 이제 상품화가 시작된 것입니다. 辛은 그 자체로 가치있는 물건이자 보석이 됩니다. 庚이 열매를 따는 동작을 취했다면 이제 辛은 열매를 포장해서 상품화를 시켜서 그 자체로 가치있는 물건이 됩니다. 

壬은 차가운 겨울땅이 되는데 펼치고 상승하는 火와 다르게 안으로 숨고 수렴하는 기운입니다. 壬은 태초의 씨앗으로 돌아가버리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바깥 세상과 단절을 하기도 하고 자신만의 세상으로 숨기도 합니다. 

그래서, 壬을 별종이라고 칭하기도 합니다. 의사 집안에서 예술가가 나오는거나 마찬가지입니다. 다음 싸이클의 시작인 甲을 위해 다시 씨앗으로 돌아가서 저장하고 수렴하는 것입니다.

癸가 되면 이제 세상밖으로 나올 준비를 마친 상태가 됩니다. 아직 드러나지는 않은 상태이지만 단단한 껍질을 깨고 나오기 직전의 상태가 됩니다. 그래서, 癸는 새로운 시작의 바로 전 상태이기 때문에 희망적이고 낙천적입니다. 癸를 수증기, 이슬, 식수 등 생명의 잉태라고 보는것이 이런 이유에서 입니다. 

이 모든 천간의 운동을 하나의 주기로 이어서보면 좀 더 도움이 되실것 같아서 포스팅을 준비해봤습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