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사주 통변할 때 단정짓기가 어려운 이유

  [로운사주명리] 사주 통변할 때 단정짓기가 어려운 이유 사주는 통계학입니다. 수학 공식으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단정을 짓기가 어렵습니다. 실제로 공식적으로 대입을 해보면 틀린 경우가 허다합니다. '책에서 배운대로라면 이 팔자가 이러저러해서 이런 결과가 나왔을 것이다' 라고 입을 떼면 "아닌데요??" 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70~80%는 사주대로 살아가는데 2-30%는 튀는 값이 나오게 되거든요. 이것은 부모님, 가문의 영향일 수도 있고 개인의 자유 선택으로 다른 방향으로 갔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런데, 홈런을 날리길 원하는 술사의 경우 맞추면 좋겠지만 틀리면 완전히 틀려버리게 되므로 반대 스타일인 저 같은 부류의 술사들은 이런 결단을 내리는게 껄끄럽습니다.  결단을 내린다는 것은 이런 겁니다. "반드시 이혼한다." "사고가 날 것이다" "정확히 이 쯤에 남자가 생기겠구나" 등등... 예측이 아니라 예언하는 스타일의 술사입니다. 이것은 술사의 스타일이기도 한데 마케팅 쪽으로 보면 전자같은 경우가 훨씬 더 잘 먹힙니다.  맞추면 가려운 곳을 아주 시원하게 긁어주거든요. 그런데, 여지없이 틀려버리면 완전히 틀려버리므로 내담자가 다시는 찾지 않는 경우가 있고 나중에 내담자가 기억을 떠올려봤을 때 "그래서 뭐라고 했더라?" 등의 기억에 남지 않는 통변이 될 수가 있습니다.  저 같은 부류의 술사들은 화끈한 스타일이 아닌지라 답변이 모호하지는 않지만 기본적인 틀이나 방향을 맞추는 통변을 지향합니다. 그러므로 '어떤 날에 특정 사건이 언제 일어난다' 이런 것은 틀릴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그런 통변은 하지 않습니다.  마치 '석 달 뒤에 날씨가 어떨지 맞춰봐라' 라고 하는 것 같은 것과 같은 겁니다. 보통 1년짜리 세운(歲運)은 정확도가 90%에 육박하지만 그 아랫단계인 일운을 그렇게까지 중요하게 안 보는 이유가 그런 이유에...

[로운사주명리] 이론으로 설명이 어려운 명리학의 뒷면



[로운사주명리] 이론으로 설명이 어려운 명리학의 뒷면


명리학은 기본적으로 학문입니다. 그런데 공부를 하다보면 학문적으로 풀리지 않는 의문점이 필히 발생을 하게 됩니다. 학문적으로 막히는 부분이랄까요? 그게 바로 유형/무형의 논리입니다. 예를 들어서 정관이 입묘하게 되면 여성의 입장에서는 남자덕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남편이 무능력해서 1인분을 못하거나... 애정사의 변형이 발생해서 바람을 피운다거나 사랑을 안주거나...건강을 잃어서 몸져 누워있는 남편이 되거나...이런식으로 남자의 덕을 잃고 못 받게 됩니다. 일반적으로는요. 

그런데 결혼을 한 부부를 놓고보면 관성이 입묘가 되었는데도 잘 살고 있는 부부가 있더란겁니다. 이게 바로 데이터가 튀는 값이 됩니다. 이 튀는 값을 놓고보면 남편이 귀신같은 모양으로 살고 있으면 부부 모양의 유지가 가능합니다. 

완전한 모양이 아닌 어딘가 허결하게 지내서 더 큰 흉이나 화를 피해가는 방법이 됩니다. 음, 뭐 이런 말이 있죠? 살을 주고 뼈를 취한다! 라고 하죠?ㅎㅎ부부는 원래 동거를 하는 모양을 가지게 됩니다. 이것은 서로 엄청난 기운의 공여가 일어나게 됩니다. 

그러나, 한 쪽이 떨어져 지낸다던가 주말부부를 한다던가 기러기 형태로 지내게 되면 부부의 형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는 겁니다. 동거를 구하지 않고 한 쪽이 무대 뒤로 귀신처럼 사는 모양이 되면 부부형태를 잘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는 거죠. 

또 다른 방법으로는 둘 다 해외로 가있는 겁니다.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바다건너 해외는 말그대로 外가 됩니다. 그래서 심판자의 눈을 속이고 안보이게 만들 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입묘의 흉을 많이 피해가게 됩니다. 입묘가 된다는 것을 한번 생각해보세요. 

입묘는 물상적으로 무덤속으로 들어간 모양새가 됩니다. 그러니, 이렇게 눈으로 보면 안보입니다. 입묘가 된 환경을 조성하면 모양을 잘 지킨거기 때문에 그대로 잘 넘어갈 수가 있습니다. 이것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흉을 피해갈 수가 있게 됩니다. 

반대로 생각해보면 드러나면 '된통 맞는다' 이 얘깁니다. 그러니 드러나지 않되 안 보이도록 사는 형태를 취하면 됩니다. 중앙요직, 대기업 임원, 사업가, 도심에서 사회적으로 실력행사를 하는 사람? 이게 입묘 맞으면 다 골로 가버리는 겁니다. 생각해보세요 대기업 임원은 아주 잘 보이잖아요. 삼성 임원, LG 임원 등등... 세속적이니 밖에서 보면 너무너무 잘 보이죠~?

그러니, 귀신처럼 살면 흉을 피해간다는 겁니다. 다른 또 다른 방법으로는 활인업자가 되면 액땜을 크게 하게 됩니다. 활인업자는 심판자의 눈에서 볼 때 좋은 일을 하는 놈입니다. 남을 살리고 알려주고 구도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죠. 그러니 활인업을 하는 놈은 면죄부를 주게 됩니다. 

또 뭐가 있더라? 아, 오늘내일 하는 일이 똑같은 사람도 귀신같이 사는 모양이 됩니다. 심판자의 눈에는 오늘 내일 하는 일이 반복, 반복 똑같이 하는 사람은 튀질 않아서 안보이는게 인정이 됩니다. 이것은 뭐, 학문적으로 완전히 논리적으로 서술할 부분이 아니라서 안 믿는 사람도 많을 겁니다. 하지만, 뭐 임상을 해보면 알 수 있는 부분이라...받아들일 사람만 받아들이면 됩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