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식신입묘 운運

[로운사주명리] 식신입묘 운運 오늘은 제 지인의 사주를 열어서 살펴보다가 내년부터 대운이 식신입묘에 들어가는 것을 발견했네요. 게다가 백호대살 대운이기도하고...다음에 만나게되면 방침을 어떻게 해야할지? 알려주거나 해야할 것 같습니다. 식신입묘 이 놈은 아주 고약한 운세죠. 식신은 최소한의 기초생활력을 의미하는데 정말 최소한의 것까지 의미하기 때문에 먹고, 자고, 입고, 일하고의 활동력이 박살이 날 수 있는 위중한 문제를 뜻하기 때문입니다. 식신입묘 대운이 되면 일단 환경과 조건이 갖추어진다는 뜻이고 세운이 되면 해당 사건이 발생하는 식입니다. 그러므로, 식신입묘 대운에서 식신입묘 세운을 만나면 큰 일이 발생을 합니다. 보통은 몸으로 떼우는 일들이 발생을 합니다. 여러가지 발현이 일어나는데 이 일이 다 일어나지는 않고 제가 좀 쎄게 말하기는 했는데 꼭 이렇게 똑같지는 않습니다. 다만, 제가 관찰했던 바에 의하면 이 중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가 있었습니다. 건강이 박살난다. (감기를 걸려도 몸이 이상하게 낫지를 않는다) 갑작스런 사고수로 다치거나 심하면 죽는다. 암이나 백혈병같은 매우 큰 질병에 걸린다. 세상살이에 피로감, 염증을 느껴서 극단적 선택을 한다. 우울증에 걸려 칩거생활을 한다. 반신불수가 되기도 한다. 사업이 망한다. 회사에서 잘려서 백수가 된다. 감옥을 간다. 병원에 장기간 누워있는다. 아랫사람, 수하인이 말썽을 일으킨다. 여자는 자식 문제로 아주 속을 썩는다. 남자는 장모님이 속을 썩인다. 그럼 이 거지같은 식신입묘 운을 도대체~ 어떻게 해야하나? 원래 활인업자들은 식신입묘 운에서도 충격을 완화시킬 수가 있습니다. 타인을 이롭게 하면서 자신에게 닥칠 살(殺)을 미리 덜어낼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의사의 경우 인성이 개박살난 놈이라고 해도 직접 수술행위를 집도하는 의사라면 면죄부를 얻게 됩니다. 좀 거지같죠?^^; 아니면 오늘 내일 하는 일이 항상 같고 조용한 직장생활을 하면 쬐끔 개운이 됩니다. 그마저도 안되면 일부러 자기가 사는 반경...

[로운사주명리] 사주상담은 점(占)이 아니라 안내가 되어야합니다

 


[로운사주명리] 사주상담은 점(占)이 아니라 안내가 되어야합니다


참...어려운 논제입니다. 특히, 돈을 받고 통변해야하는 프로의 입장에서는 참으로 난감합니다. 왜냐하면, 사주를 보는 손님들은 술사가 얼마나 맞출지? 기대를 하게 됩니다. 내가 아무것도 말하지 않더라도 알아서 통변을 해주면 좋겠다는 기대심리가 있거든요. 

근데 이건 돈 받고 사주봐주는 술사의 입장에서는 딜레마 같은 겁니다. 사주는 내담자의 현실을 모르는 상태에서 쪽집게식으로 콕콕 찝는 통변이 어렵습니다. 사주의 운(運)은 일종의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운이 올 때는 몇 가지의 현상이 일어나는데 꼭 하나만 콕 집어서 맞추려면 여러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쪽집게식 통변이 어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결국 사건이 일어날만한 개연성을 이어붙여서 쿡 찌르는 통변을 해줘야하는데 내담자가 아무런 정보도 주지않고 팔짱끼면서 '맟춰봐라' 하는 식으로 나오면 술사 입장에서는 참 난감하거든요. 

그렇다고 손님에게 필요한 정보를 너무 물어봐도 실력없는 술사로 평가받게 됩니다. 그러니, 이 분야에서는 맞춰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술사를 그만두시는 분들도 많이 있는것으로 압니다. 저도 상담을 하다보면 간을 보거나 떠보는 손님들은 상담 해주기가 정말 싫습니다. 

그럴거면 그냥 신점보러 가는게 서로한테 좋습니다. 명리상담은 맞추는게 문제가 아니라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가는지가 훨씬 더 중요한 논점이거든요. 그래서 손님들은 신점과 같이 시원하게 가려운 곳을 긁어주기를 바라지만 사주명리술사의 입장에서는 현실체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래야 더 효율적으로 안내를 해드릴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점(占)으로 가면 안되고 안내를 해주는식으로 통변해주는게 더 효과적입니다. 

점으로 사주를 보면 맞출 때는 홈런을 치지만 틀릴 때는 여지없이 틀려버립니다. 그래서 맞춘다, 못 맞춘다 식으로 상담을 해주는 술사같은 경우에는 컨디션에 따라서 아예 어긋나거나 아예 잘 맞거나 하게 됩니다.

이렇게 이분법적인 상담방향으로 가다보면 상담이 끝나고 나서의 손님 입장에서는 나중에 '그래서 저 사람이 뭐라고 했더라?' 라며 기억에 남기 어려운 통변이 됩니다. 

사주상담은 어떤 길로 가야 되는지, 가면 안되는지 내 사주 설계도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현실 상황에 맞춰서 자세하게 설명을 해주는 술사를 만나야 돈이 안 아깝습니다. 

"제 사주가 좋아요? 안 좋아요?" 이렇게 길흉이나 이분법적으로 보려고 하는 자세보다는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요? 라는 질문을 하면 훨씬 더 효과적인 상담을 기대해 볼 수가 있습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