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일주론으로 모두 판단하는 것은 바보같은 짓입니다만...오늘은 재미로 보는 차원에서! 여성 을사일주의 연애스타일 관찰한 것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ㅎㅎ 을사일주의 물상으로는 초록뱀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신살로는 금여록이 위치해 있고요? 일주는 목욕지 위에 앉아있습니다. 목욕지+금여록이니 예쁘고 블링블링한 것들을 가까이 하게 되고 고급진 물건을 잘 구입하기도 하며 잘생기고 예쁜 사람들을 유독 좋아하는 경향이 있어요.   남들이 보기에도 좀 예뻐보여야 하고 드러내고 뽐내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이성을 선택할 때도 좀 키크고 잘생긴 사람들을 좋아하고 그렇습니다. 요즘 젊은 사람들의 연애관이 남녀 모두 상대의 외모를 비중있게 보는 사람들이 많이 증가했다고는 하지만 신살로보나...육신으로 보나...을사일주는 특히나 남자의 생김새나 큰 키(덤으로 근육질이면 좋고)을 비중있게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지로는 巳 상관이니 자신을 화끈하게 드러내기를 좋아하고 놀기 좋아하는 면모도 있습니다.   놀 때는 화끈하게, 남자를 고를 때도 그렇습니다. 巳의 지장간에는 庚정관이 암장되어있고 일간을 합을 하고 있는 모양새가 되죠. 그러니 남자와 항상 연관되어있거나 인연이 잘 닿기도 합니다. 항상 관성과 연결되어 있는 모양이 되므로 남자를 자주 접하게 되겠죠. 주변에 방해하는 글자나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요? 이들은 자기 맘에 드는 남자에게 잘 대쉬하거나 적극적인 모습으로 어필하기도 합니다. 그래도 여자는 여자니까 직접적으로 테토남처럼 들이댄다기 보다도 적당히 눈치를 주거나 자신의 연애관이나 상황을 맘에 드는 이성에게 잘 공유하기도 합니다.   한 사례로는 평소 헬스장에서 맘에 드는 이성을 눈여겨 보았다가 기회를 봐서 말을 걸거나 들이대서 인스타를 따기도? 합니다. 보통의 여성은 그런 경우가 잘 없지만 식신과 달리 을사일주의 상관은 목욕지를 품에 안은 상관이죠 😆 😆  목욕지는 잘 드러내고 벗기도 하는 12운성...

[로운사주명리] 사주 통변할 때 단정짓기가 어려운 이유

 


[로운사주명리] 사주 통변할 때 단정짓기가 어려운 이유


사주는 통계학입니다. 수학 공식으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단정을 짓기가 어렵습니다. 실제로 공식적으로 대입을 해보면 틀린 경우가 허다합니다. '책에서 배운대로라면 이 팔자가 이러저러해서 이런 결과가 나왔을 것이다' 라고 입을 떼면 "아닌데요??" 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70~80%는 사주대로 살아가는데 2-30%는 튀는 값이 나오게 되거든요. 이것은 부모님, 가문의 영향일 수도 있고 개인의 자유 선택으로 다른 방향으로 갔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런데, 홈런을 날리길 원하는 술사의 경우 맞추면 좋겠지만 틀리면 완전히 틀려버리게 되므로 반대 스타일인 저 같은 부류의 술사들은 이런 결단을 내리는게 껄끄럽습니다. 

결단을 내린다는 것은 이런 겁니다. "반드시 이혼한다." "사고가 날 것이다" "정확히 이 쯤에 남자가 생기겠구나" 등등... 예측이 아니라 예언하는 스타일의 술사입니다. 이것은 술사의 스타일이기도 한데 마케팅 쪽으로 보면 전자같은 경우가 훨씬 더 잘 먹힙니다. 

맞추면 가려운 곳을 아주 시원하게 긁어주거든요. 그런데, 여지없이 틀려버리면 완전히 틀려버리므로 내담자가 다시는 찾지 않는 경우가 있고 나중에 내담자가 기억을 떠올려봤을 때 "그래서 뭐라고 했더라?" 등의 기억에 남지 않는 통변이 될 수가 있습니다. 

저 같은 부류의 술사들은 화끈한 스타일이 아닌지라 답변이 모호하지는 않지만 기본적인 틀이나 방향을 맞추는 통변을 지향합니다. 그러므로 '어떤 날에 특정 사건이 언제 일어난다' 이런 것은 틀릴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그런 통변은 하지 않습니다. 

마치 '석 달 뒤에 날씨가 어떨지 맞춰봐라' 라고 하는 것 같은 것과 같은 겁니다. 보통 1년짜리 세운(歲運)은 정확도가 90%에 육박하지만 그 아랫단계인 일운을 그렇게까지 중요하게 안 보는 이유가 그런 이유에서 입니다. 중요한 것은 이미 1년짜리 세운에서 다 결정이 나게 되어있고 월운 같은 경우에는 그래도 오차값이 줄어들기는 하지만 일운? 같은 경우에는 맞으면 귀신같이 맞기도 하지만 역시 특별히 거론하지 않습니다. 

경우의 수가 있기 때문에 함부로 단언하기가 어려운 지라 최대한 부드러운 화법을 쓰게되고 찍기가 아니라 안내해주는 방식을 택하게 됩니다. 보통은 확률적으로 이야기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방향 설정, 대응방법, 주의해야할 점 등을 일러주게 됩니다. 

사주가 공식대로 다 맞았으면 고수~초고수 술사의 경우 오차값이 없는 상태로 일정한 수준의 실력을 가지게 되겠죠? 사주라는 학문이 공식대로 간다면 결국 다 하나의 점에서 만나게 되는 겁니다. 하지만, 사람 인생이 그리 간단하지가 않죠^^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