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왜 어떤 사람은 자주 이직할까? <직업운>

     [로운사주명리] 왜 어떤 사람은 자주 이직할까? <직업운> 이직을 자주 하는 사람은 왜 그럴까요?? 한 직장에 오래 못 있고 자주 이직, 이동을 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습니다. 왜 이직, 이동수를 자주 거치는 걸까.. 우선, 정관이나 정재의 유무를 살펴봐야 합니다. 편관, 편재 정관 정재는 보편성과 안정성을 기반으로 해요. 그렇기 때문에 정관과 정재가 하나라도 년월에 제대로 세력을 갖추었다면 한 직장에 오랫동안 몸담을 수 있는 기본요건이 갖추어집니다. 정관과 정재가 없고 편관과 편재가 있으면? 아무래도 한 직장에서 오랫동안 반복적인 일이나 보편적인 업무를 하기를 싫어합니다. 편관, 편재 이 둘은 하는만큼 벌어가는 형태를 추구하며 일확천금을 꿈꾸거나 한 방을 노리는 기질이 있어요.  편재같은 경우는 사업속성이 매우 강하죠. 편관 같은 경우는 특수직을 선호하고 난이도가 있는 형태를 추구합니다. 막상 일이 닥칠 때는 싫어할 수 있어도 결국에는 본인도 그런 쪽을 추구하게 됩니다. 그리고, 거기서 크게크게 이루는 성취감을 좋아하게 됩니다. 편재나 편관이나 일반 조직생활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하는 만큼 벌어가는 형태를 추구합니다. 그래서, 조직생활 보다는 프리랜서를 하거나 사업길로 가는 쪽이 더 잘 맞습니다. 아니면 조직생활을 하다가 사업이나 독자적인 일을 추구하러 나오는 식입니다. 관살혼잡 편관과 정관이 섞여있는 경우입니다. 년월에 관살혼잡이 형성되면 이 직장 저 직장 전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 곳에서 있다가도 다른 직장으로 이직을 하거나 전전하게 됩니다. 한 직장에서 있는 것을 만족하지 못하고 이직하는 분야도 다양합니다. 그래서 가장 좋은 것은 월주에 정관이나 편관이 잘생기게 하나 있는 것이 제일 좋다고 하죠? 근데이건 재성도 마찬가지입니다. 뭐든 과유불급이죠. 관살혼잡이되면 관이 여기저기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다중업객 서비스를 추구하는 것도 좋고 이 사람 저 사람이 나를 찾는 형태의 업무면 좋습니다....

[로운사주명리] 통근 및 투출의 이해



[로운사주명리] 통근 및 투출의 이해


사주팔자는 기본적으로 천간과 지지, 그리고 지장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천간은 정신, 이상, 생각, 무형, 상징물, 공公적인 영역을 말하는데요?

통근 이라는것은 천간과 지장간의 글자가 통(通)하였다는 말을 뜻합니다. 정신의 영역에서 생각만으로 그치지 않고 실제 유형물로 성취할 수 있는 실질적인 힘이 생긴 것입니다. 

말이 좀 어렵죠?

이해를 쉽게 돕기 위해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癸甲◎

◎◎寅◎

이런 글자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寅의 지장간으로는 戊丙甲 세가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기에는 본기인 甲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이 甲이 월간의 甲과 통(通)하였다는 것은... 월간의 甲과 지장간 寅의 甲이 하늘과 소통을 이루었다는 말이 됩니다. 그래서 월간의 甲은 지지에 준하는 힘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쉽게 말해서 세력을 얻었다고 표현을 합니다.

하지만, 지지에 실제로 있는 것과 통근을 해서 세력을 얻은 것은 차이가 있습니다. 지지에 '준' 할뿐이지 실제로 지지와 동급으로 쳐주지는 않습니다. 

그럼 투출(透出)은 무엇인가?

통근은 천간이 지장간과 소통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투출은 지장간의 글자가 천간과 소통을 한다는 뜻이 됩니다. 그러니까 그게 그 말입니다^^ 어려울 게 하나도 없습니다.

투출은 지지에 숨겨진 천간의 뜻과 실제 천간의 뜻이 맞닿았다는 뜻이 됩니다. 지금 예시를 든 것은 똑같은 월주에서 일어난 일이 됩니다. 

그러므로, 시간차가 발생하지 않고 곧바로 21~40세의 구간에서 발현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이런 구조는 어떨까요?


◎癸甲◎

◎卯子◎


이런 구조에서는 일지에 甲이 숨겨져 있습니다. 월지의 子에 甲이 있나요? 없죠~ 그럼 월지가 투출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일지에는 甲이 있습니다. 이것도 투출로 인정이 됩니다. 그렇지만 일전의 예시와는 달리 나이를 먹고 나서 쓸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이 말인 즉슨 시간차가 발생한다는 것이죠.

일지이므로 41~60세 구간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하나만 더 해볼까요? 


◎癸甲◎

◎丑子◎


여기에는 투출이 되어있나요? 보시다시피 글자가 하나도 없습니다. 이런 경우엔 월간의 甲은 거의 실질적인 힘이 없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냥 없는것보다는 나은 정도가 됩니다. 써먹으려면 정신활동이나 무형으로밖에 못 쓰게 됩니다.

통근과 투출 어렵지 않죠?^^



댓글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