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로운사주명리] 왜 어떤 사람은 자주 이직할까? <직업운>

     [로운사주명리] 왜 어떤 사람은 자주 이직할까? <직업운> 이직을 자주 하는 사람은 왜 그럴까요?? 한 직장에 오래 못 있고 자주 이직, 이동을 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습니다. 왜 이직, 이동수를 자주 거치는 걸까.. 우선, 정관이나 정재의 유무를 살펴봐야 합니다. 편관, 편재 정관 정재는 보편성과 안정성을 기반으로 해요. 그렇기 때문에 정관과 정재가 하나라도 년월에 제대로 세력을 갖추었다면 한 직장에 오랫동안 몸담을 수 있는 기본요건이 갖추어집니다. 정관과 정재가 없고 편관과 편재가 있으면? 아무래도 한 직장에서 오랫동안 반복적인 일이나 보편적인 업무를 하기를 싫어합니다. 편관, 편재 이 둘은 하는만큼 벌어가는 형태를 추구하며 일확천금을 꿈꾸거나 한 방을 노리는 기질이 있어요.  편재같은 경우는 사업속성이 매우 강하죠. 편관 같은 경우는 특수직을 선호하고 난이도가 있는 형태를 추구합니다. 막상 일이 닥칠 때는 싫어할 수 있어도 결국에는 본인도 그런 쪽을 추구하게 됩니다. 그리고, 거기서 크게크게 이루는 성취감을 좋아하게 됩니다. 편재나 편관이나 일반 조직생활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하는 만큼 벌어가는 형태를 추구합니다. 그래서, 조직생활 보다는 프리랜서를 하거나 사업길로 가는 쪽이 더 잘 맞습니다. 아니면 조직생활을 하다가 사업이나 독자적인 일을 추구하러 나오는 식입니다. 관살혼잡 편관과 정관이 섞여있는 경우입니다. 년월에 관살혼잡이 형성되면 이 직장 저 직장 전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 곳에서 있다가도 다른 직장으로 이직을 하거나 전전하게 됩니다. 한 직장에서 있는 것을 만족하지 못하고 이직하는 분야도 다양합니다. 그래서 가장 좋은 것은 월주에 정관이나 편관이 잘생기게 하나 있는 것이 제일 좋다고 하죠? 근데이건 재성도 마찬가지입니다. 뭐든 과유불급이죠. 관살혼잡이되면 관이 여기저기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다중업객 서비스를 추구하는 것도 좋고 이 사람 저 사람이 나를 찾는 형태의 업무면 좋습니다....

[로운사주명리] 비겁운

 



[로운사주명리] 비겁운


육신 중에서 가장 난해하다고 여겨지는 비겁입니다. 식상과 재성 인성 관성은 비겁에 비하면 구분짓기가 쉽습니다. 

관성은 직장, 사회적위신..남자에게는 자식이고 여자는 남자. 재성은 활동무대, 돈(현금), 거래행위, 결과물, 남녀공통으로 아버지가 됩니다. 

그런데 비겁은?? 우선은 육친으로는 형제가 되고 동료, 친구, 경쟁자, 동업자 등이 됩니다. 현금으로는 손재수에 해당되죠. 

근데...그래서 그 다음은 어쩌라고?? 가 됩니다. 

비겁은 신강과 신약을 가르는 핵심성분이기도 하며 일간의 힘을 강하게 키워주는 성분입니다. 일간의 힘을 강하게 만든다..는 측면에서 볼 때 대운의 비겁운, 세운의 비겁운의 통변이 다릅니다. 

대운에서 비겁을 볼 때 심지어 술사들조차도 어떻게 말을 해주어야하나 난감한 경우가 있습니다. 비겁이니 재성을 극해서 현금의 소모, 지출이 따른다는 것은 알겠는데 더 나아가서 어떤식으로 활동하게 된다는 건지가 통변이 애매합니다. 

여기서 포인트는 일간에게 힘을 보태준다고 생각한 후 논리를 확장해보는겁니다. 일간이 힘이 생기니 성장측면에서 내 주체성이 강화가 될것이고 전문성이 강화가 될것입니다. 비겁은 경험하고자 하는 욕망이 큽니다. 

비겁은 주도력, 장악력입니다. 그러므로 장악력이 생긴다는것은 무리의 대장이 된다는것입니디. 무리의 대장은 아무나 될 수 없습니다.

경쟁에서 승리해야하고 대장기질이 있어야지만 가능한것이죠. 그러니, 대장이 되어서 일가(一家)를 이루거나 1인자가 되기도 합니다.

비견은 합리적인 방식, 공정한 방식으로 대장이 되지만 겁재는 수단과 방법을 안 가립니다. 겁재에게 도움을 받았다면 반드시 보상을 해주어야만 합니다.

그럼 대운에서 어떤식으로 통변을 해야할지 감이 오시나요?? 스스로 궁리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가장 많이 본 글